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이용수 802

영문명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 : Effects of their feedback exper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손원숙(Sohn Won Sook) 이빛나 박정(park chung)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32권 제2호, 375~39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 이들의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가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Brown(2011)이 개발한 평가인식 척도(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SCoA-VI)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으로는 D와 K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서 교직이수 중인 362명을 선정하였다. 평가인식의 다차원적인 하위요인 속성 및 이들 간 독립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유형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은 크게 긍정인식형(43.1%), 평균형(44.5%) 및 부정인식형(12.4%)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형성적 피드백, 지각된 피드백 유용성 및 피드백 활용 정도 로 측정된 피드백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그리고 접근지향적 성취목표를 가진 중등 예비교사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적인 학습자의 특징 중 하나인 피드백 활용 요인은 평가인식의 세 유형 모두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로부터 제공받은 피드백을 스스로 활용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평가정책의 실행 및 예비교사의 평가교육 모형 개발에서 평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eedback exper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he feedback experience was measured by three constructs such as formative feedback, perceived utility of feedback, and use of feedback. Specifically,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SCoA-VI)(Brown, 2011) inventory was completed by 362 prospective teachers attending to three different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D or K region of Korea. The latent profil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four facets of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Social/Affective, External, Improvement, and Irrelev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such as ‘positive(43.1%)’, ‘average(44.5%)’, and ‘negative(12.4%)’ types were differentiat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feedback experience and mastery or performance approach f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more related to the positive type rather than the average or negative type. Especially the use of feedback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active learners’s characteristic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differentiate the three latent profiles consistently.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K-SCoA inventory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conceptions of assessment for prospective teacher education for assessment ar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원숙(Sohn Won Sook),이빛나,박정(park chung). (2019).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교육평가연구, 32 (2), 375-395

MLA

손원숙(Sohn Won Sook),이빛나,박정(park chung).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교육평가연구, 32.2(2019): 375-3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