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agnetite and scheelite-bearing skarns in Ulsan mine, Korea

이용수 6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Seon gyu Choi(崔善奎) Naoya Imai(今井直哉)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26권 1호, 41~54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3.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상분지 남동부에 위치한 울산광산은 석회암을 교대한 전형적인 calcareous skarn광상으로 FeㆍW광화작용 이외에도 Cu, Pb, Zn, As, Bi, Ni, Co, Cr, Ag, Sn, In, Te, Sb 등이 수반되는 다금속광화작용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광상은 직립에 가까운 파이프상 광체로 산출되며, 자철석과 함께 북측의 혼펠스와의 경계부근에 회중석이 부분적으로 광염되어 있다. 본 광상의 스카른대는 석회암 및 혼펠스를 교대한 괴상 스카른과 양자를 각기 절단하는 맥상스카른으로 구분된다. 괴상스카른은 석회암 기원의 스카른이 주체를 이루며, 이러한 스카른대는 규회석 스카른, 석류석 스카른, 단사휘석-석류석 스카른, 단사휘석 스카른으로 분류되며, 부분적으로 스카른대 주변부를 따라 거정질 방해석대가 존재하고 있다. 스카른 진화과정은 초기스카른 및 후기스카른의 두 시기로 분류되며, 초기스카른은 prograde한 스카른 생성시기로 초기에는 규회석, Mg-rich 단사휘석, Al-rich garnet가 주로 정출되며 광석광물은 거의 불모한 시기이나, 초기스카른의 말기로 진행됨에 따라 자철석과 회중석이 정출된다. 그리고, 후기스카른의 전반기까지는 Fe-rich 단사휘석, Fe-rich garnet와 함께 자철석ㆍ회중석이 연속적으로 정출되었으나, 후기스카른의 중기부터는 Ni, Co, As, Cu, Zn, Fe, Bi 등의 황화광물이 정출되는 다금속광화작용의 특징을 보인다. 또한, 최후기 열수작용시기에는 섬아연석과 방연석 등의 Base-metal 황화광물이 주로 정출되는 연ㆍ아연 광화작용의 양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각 광화시기별 스카른 광물과 광석광물의 변화양상은 고온의 열수용액이 천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광화용액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진 결과 (telescope)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Ulsan Fe-W deposit, which can be classified as a calcareous skarn deposit, is represented by ore pipe consisting principally of magnetite and lesser amounts of scheelite with minor sulphides, sulphosalts, arsenides, sulpharsenides, etc. At Ulsan mine, metasomatic processes of skarn growth may be divided broadly into two stages based on the paragenetic sequence of calc-silicate minerals and their chemical composition; early and late skarn stages. Early stage has started with the formation of highly calcic assemblages of wollastonite, diopsidic clinopyroxene and nearly pure grossular, which are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clinopyroxenes with salite to ferrosalite composition and grandite garnets with intermediate composition. Based on these calc-silicate assemblages, the temperatures of early skarn formations have been in the ranges of 550° to 450℃. The calc-silicate assemblages formed during the earlier half period of late skarn stage show the enrichment of notable iron and slight manganese, and the depletion of magnesium; clinopyroxenes are hedenbergitic, and grandite garnets are andraditic. The formation temperatures during this skarn stage are inferred to have been in the range of 430° to 470℃ at low Xco₂ by data from fluid inclusions of late andraditic garnets. The later half period of late skarn stage is characterized by the hydrous alteration of pre-existing minerals and the formation of hydrous silicates. The main iron-tungsten mineralization representing prominent deposition of magnetite immediately followed by minor scheelite impregnation has taken place at the middle of early skarn stage, while complex polymetallic mineralization has proceeded during and after the late skarn stage. Various metals and semimetals of Fe, Ni, Co, Cu, Zn, As, Mo, Ag, In, Sn, Sb, Te, Pb and Bi have been in various states such as native metal, sulphides, arsenides, sulphosalts, sulpharsenides and tellurides.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GENERAL GEOLOGY
OUTLINE OF THE ORE DEPOSITS
SKARN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SKARN EVOLUTION
IRON-TUNGSTEN MINERALIZATION
PHYSICOCHEMICAL ENVIRONMENTS OF SKARN FORMATION
DISCUSSIONS AND SUMMARY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eon gyu Choi(崔善奎),Naoya Imai(今井直哉). (1993).Magnetite and scheelite-bearing skarns in Ulsan mine, Korea. 자원환경지질, 26 (1), 41-54

MLA

Seon gyu Choi(崔善奎),Naoya Imai(今井直哉). "Magnetite and scheelite-bearing skarns in Ulsan mine, Korea." 자원환경지질, 26.1(1993): 4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