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식민적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교육

이용수 145

영문명
Interkulturelle Pädagogik unter postkolonialer Perspektive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홍은영(Hong, Eun-Young)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17권 제1호, 143~16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이주에 대한 독일 교육학논의에서 이론적 · 실천적 구상으로서 형성된 상호문화교육을 포스트식민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다문화 및 상호문화교육의 사회적ㆍ역사적 제반조건을 주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포스트식민성은 오늘날의 이주와 세계화를 초래하였던 역사적 조건, 즉 식민주의 과거의 망각함에 대해 이의제기를 하며, 상호문화의 담론과 실천에서 간과되고 있는 지배의 측면을 드러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맨 먼저 상호문화교육의 형성과정을 재구성하고 비판적 상호문화교육의 관점을 서술한다. 이때 타자를 ‘문제’ 또는 ‘다름’으로 바라봄에서 그 ‘다름’이 구성되어지는 사회적 소속의 조건에 대한 고찰로의 관점전환이 요구된다. 이는 상호문화교육에서 타자화의 과정에 대한 분석과 이와 관련된 인종주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포스트 식민적 관점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포스트식민적 사회적 상황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혼종성, 근대와 식민주의의 연관성과 재현의 세 가지 개념을 고찰한다. 상호문화성에 대한 이러한 접근은 정체성이 역사적, 사회적 규정으로부터 벗어나서 존재하지 않음을 인식하게 한다. 이는 오 늘날의 세계화된 이주사회에 대한 모든 고찰이 주체 자신의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에 의해 위치지어짐을 의미한다. 이에 입각해서 포스트식민적 교육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교육학자 및 교육실천가 자신의 식민 사고방식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zunächst darum, die gegenwärtige pädagogische Diskussion um Migration darzustellen. Dabei wird die Dimension von Macht- und Herrschaftsverhältnissen, die innerhalb der pädagogischen Diskurse um Migration weitgehend ausgeblendet und vernachlässigt wird, in den Blick genommen. Diese kritische Perspektive auf Interkulturalität und Migration fordert uns dazu auf, die gesellschaftlichen Bedingungen der interkulturellen Pädagogik zu berücksichtigen. Postkolonialität richtet das Augenmerk auf die Gegenwart, in der sich die koloniale Vergangenheit in den Erfahrungen der Marginalität, Ausgrenzung und Diskriminierung von Individuen widerspiegelt. Postkolonialität richtet sich also gegen das Vergessen des Kolonialismus als historischer Bedingungen der gegenwärtigen globalen gesellschaftlichen Verhältnisse. Um das Kennzeichen der postkolonialen Perspektiven zu beschreiben, werden in dieser Arbeit den drei Aspekten Hybridität, Repräsentation, das Verhältnis von europäischer Moderne und Kolonialismus nachgegangen. Durch den postkolonialen Zugang zur Auseinandersetzung mit Interkulturalität und Migration ist der gesellschaftliche Kontext in den Blick zu nehmen, in dem soziale Zugehörigkeiten zugeschrieben, ausgehandelt und umkämpft werden. Wir haben mit widersprüchlichen Identitäten zu tun, die die Folge des durch die Kolonisierung ausgelösten langfristigen Prozesses sind. In diesem Zusammenhang besteht die Bedeutung der postkolonialen Pädagogik und Bildung vor allem darin, unsere hegemonialen Wahrnehmungsmuster im Kontext von Macht- und Herrschaftsverhältnisse in Frage zu stellen.

목차

I. 서론
II. 독일 상호문화교육의 역사적 특징과 형성과정
III. 포스트식민적 관점의 특징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은영(Hong, Eun-Young). (2012).포스트식민적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 (1), 143-162

MLA

홍은영(Hong, Eun-Young). "포스트식민적 관점에서 본 상호문화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1(2012): 143-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