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환관 이야기에 나타나는 젠더 이분법의 균열 양상과 그 의미

이용수 231

영문명
A Study on the Crack of Binary Gender System in Chosun Dynasty : Focussing on the Stories of Eunuchs and Their Wiv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조현우(Cho, Hyun-woo)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41권, 171~20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환관(宦官)과 환처(宦妻) 관련 서사 및 각종 문헌을 토대로 환관이 강력하고 논리적으로 보이는 조선 시대의 젠더 이분법 체계에 균열을 야기하는 존재였음을 입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조선 시대의 환관이 가진 이중적 성 격을 살폈다. 환관은 거세된 남성으로서 ‘非남성’으로 공인된 존재였지만, 동시에 정식 관리이자 혼인을 통해 양자를 들일 수 있는 가부장 ‘남성’이기도 했다. 이러한 이중적 성격은 조선 시대 내내 사대부들의 비판을 받는 원인이 되었다. 야담 중 환 관과 환처가 등장하는 이야기에는 이와 같은 환관의 모순적 성격에 대한 사대부남성들의 인식이 담겨 있다. <의환>에서 자신의 아내를 선비에게 주고 그를 과거급제하도록 돕는 환관의 행위는 ‘의롭다’고 평가된다. 이는 사대부 남성들을 위한 ‘이로움’이 ‘의로움’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환처의 정욕과 관련된 이야기들 속에서 환관 아닌 남성들은 성관계가 가능하다는 이유만으로 환처의 구원자로 그려진다. 이러한 이야기들 속에서 환처는 다른 무엇보다 성관계를 갈망하는 과도하게 성적인 존재로 형상화된다. <환처>에서 환관의 아내는 ‘가면을 쓴 남성’으로 묘사되고, 남성들은 그녀의 경험담을 안전한 웃음거리로 소비한다. 이와 같이 야담에서의 환관은 ‘결여’를 표상하면서 환관 아닌 남성들에게 자신의 성적 능력이 충분하다고 상상할 수 있게 해주는 존재였다. 환관은 ‘남자도 아니고 여자도 아닌’ 존재였지만, 동시에 공식적이고 합법적인 남성이라는 이중적 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성격은 배제와 예외적 존재의 수용을 통해 이성애와 특정한 형태의 성 관계만을 특권화하던 젠더 이분법에 일정한 균열을 야기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체제 내 존재이면서 그 체제에 끊임없이 균열을 야기했던 환관이야말로 조선시대의 젠더 연구에서 반드시 주목해야 할 대상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eunuchs of Chosun Dynasty had brought about gender trouble and crack in the binary gender system which seems to be very strong and logical. The eunuchs, who have been castrated and are incapable of reproduction, were the public officials to assist kings and the patriarch with legal wife and son. In that respect it can be said the eunuchs were publicly certified as men. But eunuchs were not men also. Because of castration, they could work in palace where was the place forbidden to men except king and his family. There are no paternal blood relationship between eunuchs and their descendants, even though the family of eunuchs looks like an ideal patriarchy. Because of this duplicity eunuchs have been regarded as neither men nor women in Chosun Dynasty so that they could not belong to the binary gender system in which human beings are divide into two clear-cut groups of women and men. In Yadam(野談), there are stories in which eunuch gave his wife to a man selected randomly. The man has made a big fortune including the beauty, the government service and wealth on a single occasion, just because he has not been castrated. In another stories, there are men who were convinced that they could have good luck from a sexual relationship between eunuchs’ wives. They are regarded themselves as the savior. In these stories, eunuchs’ wives are represented as the overly sexual women who only long for the sexual intercourse with penetration. But this representation of eunuchs and their wives paradoxically illuminates various contradictions and dilemmas of the binary gender system. Eunuchs and their wives belong to the legal patriarchy and obey the rule of patriarchy, so they made gender trouble with patriarchy. This paper finally offers that the full-fledged research on eunuchs and their wives are urgently demanded to overcome gender essentialism on the binary gender system.

목차

1. 문제제기
2. 환관의 이중적 성격과 사대부들의 환관 비판
3. 야담에 나타난 환관과 환처의 형상
4. 환관의 젠더 체계 교란과 그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우(Cho, Hyun-woo). (2018).환관 이야기에 나타나는 젠더 이분법의 균열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1 , 171-205

MLA

조현우(Cho, Hyun-woo). "환관 이야기에 나타나는 젠더 이분법의 균열 양상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41.(2018): 171-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