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chemistry and origin of amphibolitic rocks in the Sobaegsan metamorphic belt and the Ogbang and Sangdong Tungsten Mine Areas, korea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So Chil sup(蘇七燮) Kim Sang myeong(金尙明)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8권 3호, 147~16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7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小白山 變成帶內의 玉房, 善山, 知禮 및 丹城일대에 분포하는 角閃石質岩 중 玉房地域의 것은 주변 變成岩類에 相合的이며 葉理가 잘 발달되어 있고 그외 지역의 것은 심한 花岡岩化作用의 영향을 받아 片磨岩 및 花岡岩質岩內에 lense 狀의 殘留體로 産出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小白山 變成帶內의 角閃石質岩(玉房重石鑛床 포함)과 그의 경계부에 위치한 沃川地向斜帶內의 上東鑛床의 鹽基性變成岩의 시료를 대상으로 濕式 및 方出分光分析을 수행하여, 24개 主成分 및 稀有元素의 定性ㆍ定量的인 값을 variation trend와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를 통하여 비교검토함으로써 이들의 成因을 밝혀보려 하였다. 主成分元素의 Niggli value를 사용한 각종 도면에서는 花岡岩化作用으로 인한 alkali, alumina, 및 silica 등의 증가로 인하여 충분한 data를 얻지못했으나, 硏究 대상 試料의 稀有元素들은 alkli, alumina, silica의 增減에 영향을 받지않아 (도면 12, 13) 成因規明에 만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玉房, 善山, 知禮 및 丹城地域의 角閃石質岩은 각 도표에서 높은 비율의 Cr, Ni, Co, Ti, Sr 및 V의 값을 가지며 鹽基性 火成岩의 variation trend를 잘 보여주고, 上東地域의 鹽基性變成岩은 낮은 Cr, Ni, Co, Ti, Sr 및 V의 값과 낮은 Niggli mg값을 가져서 火成, 堆積의 두 특징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으나 화성기원의 특징을 더욱 강조하여 준다. 한편 Discriminant function test(X₁, X₂, X₃)에서도 玉房, 善山, 知禮, 丹城지역의 角閃石質岩은 한개의 試料를 제외하고는 모두 X₁, X₂, X₃ 중 둘이상이 positive값을 가져 火成起源을 지시해주며 上東鑛床의 것은 하나의 시료는 둘이상의 positive값 (X₁=7.08, X₂=0.43, X₃=-4.42)을 나타내고 두개의 시료는 둘이상의 negative값 (X₁=7.66, -8.60 X₂=-0.78, -2.13, X₃=4.62, -1.00)을 나타낸다. 또한 起源岩의 규명에서 본 연구의 대상이 된 모든 鹽基性 變成岩이 憤出岩 및 堆積岩의 특정인 높은 oxidation ratio (2 Fe₂O₃×100/2 Fe₂O₃+FeO, in mols)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 主成分 및 稀有元素 硏究결과와 비교하여 보면 憤出岩에서 유래된 것으로 결론 될수 있으나 小白山變成帶의 경우는 oxidation ratio의 증가가 심한 花岡岩化作用의 영향 일수도 있으며 야외산출상태와 현미경기재에서도 憤出岩의 잔류증거를 찾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소백산변성대내의 玉房, 善山, 知禮, 丹城일대의 角閃石質岩은 鹽基性 慣入岩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사료되고, 沃川地向斜帶內의 上東鑛來일대의 鹽基性變成岩은 Kamp(1968)와 Orville(1969)가 취급한 연구결과에서와 같이 炭酸鹽堆積物의 퇴적환경에서 침전한 鹽基性 tuff로부터 유래된 가능성이 많다.(蘇七燮, 1968, 1975)

영문 초록

19 amphibolite samples from the Precambrian Sobaegsan metamorphic belt including the Ogbang mine amphibolites were analyzed for 24 elements each, by wet chemical and emission spectroscopic methods. All the chemical data were evaluated by the methods outlined by Evans and Leake(1960) and Leake(1964) and by Shaw and Kudo(1965). The chemical similarity of all the studied rocks analyzed to basic igneous rocks is consistently indicated particularly by trace element abundance and variation trends. Petrography and oxidation ratios were also considered in attempting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parent rocks. 3 analyses of W-bearing mafic metamorphic rocks from Sangdong area of the Ogcheon geosynclinal zone are also presented and discussed. Geochemical data for these latter rocks have been possibly derived from mafic tuffs deposited in an area of carbonate deposition (So, 1968, 1975).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METHOD OF STUDY
3. PETROGRAPHY AND FIELD RELATIONSHIPS OF THE AMPHlBOLITES
4. GEOCHEMISTRY AND ORIGIN OF THE AMPHIBOLITES
국문초록
REFERENCE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o Chil sup(蘇七燮),Kim Sang myeong(金尙明). (1975).The chemistry and origin of amphibolitic rocks in the Sobaegsan metamorphic belt and the Ogbang and Sangdong Tungsten Mine Areas, korea. 자원환경지질, 8 (3), 147-164

MLA

So Chil sup(蘇七燮),Kim Sang myeong(金尙明). "The chemistry and origin of amphibolitic rocks in the Sobaegsan metamorphic belt and the Ogbang and Sangdong Tungsten Mine Areas, korea." 자원환경지질, 8.3(1975): 147-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