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가 경전 내 주요 존재론적 개념에 대한 여말 유학자들의 인식

이용수 101

영문명
The late Goryeo Dynasty Confucianists’ understandings on the ontological concepts in Confucian classics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이원석(Lee, Wonseok)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34집, 67~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가 철학의 주요 존재론적 개념들을 선별한 후, 여말 유학자들이 그것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통시적․공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우리가 선별한 개념은 천(天), 도(道),리(理), 그리고 기(氣)이다. 첫째, 천(天)에 대해, 이규보와 정포는 노장적 이해 경향을 보여준 데 비해, 이곡은 순자의 관점에서 그것을 바라보았고, 그 아들인 이색은 천의 법칙성과 도덕성을 동시에 인정하는 성리학적 이해를 보여주었다. 둘째, 도(道)에 대해, 이규보는 역시 노자의 관점에서 그것을 받아들였고, 이색은 노장과 성리학의 절충적 이해를 보여주었으며, 이후의 정도전은 초기에는 도가적으로 이해하였으나, 후기에는 성리학적 관점에서 이해는 경향을 노정했다. 셋째, 리(理)에 대해, 안축과 백문보는 노장적 이해를 보여주었으나, 이 색은 리를 도덕질서의 근원으로 간주하였고, 이후의 하륜은 성즉리(性卽理) 명제를 수용하였으며, 정도전은 리 일원론적 관점에 충실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넷째, 기(氣)에 대해, 여말의 유학자들은 “호연지기” 개념을 통해 접근하였는데, 이규보와 백문보는 기 위주의 세계관을 보여주었고, 이색과 이숭인은 기를 도덕의 근원으로 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유학자적자각을 드러냈다. 이상을 종합해 보면, 유가 경전의 주요 존재론적 개념에 대한 해석에 있어, 여말 유학계에서는 도가 철학 또는 기 철학적 관점에서 그것들을 이해하는 경향으로부터 성리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경향으로 나아갔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select the main ontological concepts in Confucian philosophy, and find out how confucianists in late Goryeo dynasty understood them. I picked out the concepts such as Tian(天), Dao(道), Li(理), and Qi(氣). First, on the Tian, while Lee Gyu-Bo and Jeong Po showing the Daoist’s understandings, Li Gok comprehended it in terms of Xun Zi’s, and Li Saek presented the Neo-Confucianism’s understandings which stressed the principle and morality of Tian. Second, on the Dao, Lee Gyu-Bo looked at it from Lao Zi’s perspective, and Li Saek disclosed the eclectic understanding which compromised the Daoism and Neo-Confucianism. Subsequently, Jeong Do-jeon first accepted it according to Daoism, and later showed the inclination of making it out from the point of view Neo-Confucianism’s. Third, on the Li, An Chook and Baek Moon-bo showing the Daoist’s understandings, on the contrary Li Saek regarded it as the origin of morality, Ha Ryun accepted the thesis of “Human nature is Li”(性卽理), and finally Jeong Do-jeon disclosed the attitude of being faithful to the monism of Li. Fourth, on the Qi, the confucianists in late Goryeo Dynasty approached it by the concept’s of “Great Spiriy”(浩然之氣) in Mencius. Lee Gyu-Bo and Baek Moon-bo showed the Qi’s view of world, and Li saek and Li Soong-in revealed the confucianist’s awareness in that they looked upon Qi as the origin of morality. As we can see, we could find out that, on the interpretation of main ontological concepts in late Goryeo Dynasty, confucianists’ understandings varied from Daoist’s or Qi’s to Neo-Confucianism’s. On the basis of these outcomes, it should be reappraised that late Goryeo Dynasty’s confucianism was simply under the influence of Yuan’s Confucianism or Buddhism.

목차

1. 서론
2. 天․道 개념에 대한 여말 유학자들의 이해
1) 천에 대한 이해 양상의 변화
2) 도에 대한 이해 양상의 변화
3. 理․氣 개념에 대한 여말 유학자들의 이해
1) 리에 대한 이해 양상의 변화
2) 기에 대한 이해 양상의 변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원석(Lee, Wonseok). (2015).유가 경전 내 주요 존재론적 개념에 대한 여말 유학자들의 인식. 태동고전연구, 34 , 67-95

MLA

이원석(Lee, Wonseok). "유가 경전 내 주요 존재론적 개념에 대한 여말 유학자들의 인식." 태동고전연구, 34.(2015): 6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