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北宋代 勅授告身 試論

이용수 71

영문명
An Essay on Chishougaoshen in Northern Song Dynasty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심영환(Shim, Young-hwan)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26집,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 당(唐)의 고신(告身) 연구는 20세기에 들어와서 돈황과 토로번에서 발견된 실물 고신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당 고신의 연구는 주로 일본 학자들에 의해서 진행되었고 많은 연구결과를 축적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서학은 물론 제도사에 큰 기여를 하였다. 최근에는 일본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중국에서도 당의 제도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여 흥미를 끌고 있다. 그런데 송(宋)의 고신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주목할 만한 연구 업적이 나오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송의 고신으로 현재까지 전존하는 실물문서가 많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계속 실물문서가 발굴되는 당의 고신 연구보다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되었다. 다른 이유로는 당의 고신 연구를 일본학 자들이 주도했다는 점이다. 이들 연구는 기본적으로는 당의 문서에 대한 연구 이지만, 그 저변에는 당의 율령(律令)을 계수한 일본 고대사의 해명이라는 문제를 저변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일본의 율령체제에 영향을 거의 주지 못한 송의 고신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에 한국은 일본과는 다르다. 한국은 당의 율령체제를 신라시대부터 도입하였지만 일본의 경우처럼 전면적으로 계수한 것이 아닌 부분적인 도입이었 다. 한국이 당의 율령체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한 시기는 고려 성종대이다. 이때는 이미 중국에서 당(唐)이 몰락하고 오대(五代)를 거쳐 북송(北宋)이 지배하던 시기였다. 따라서 당시 고려는 당의 율령을 중심으로 국가를 운영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송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려의 고신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당의 고신은 물론 송의 고신도 연구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 북송의 고신 중 칙수고신(勅授告身)을 시론 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현재 필자가 파악한 북송 고신은 문헌에 전사되어 있는 5점과 실물 고신 1점이다. 이를 북송의 원풍(元豐) 관제개혁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북송의 원풍 관제개혁 이전의 칙수고신은 실직 (實職)이 아닌 권직(權職, 差遣)에 의해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 당육전≫에 나타나는 3성제의 시행을 목표로 시행된 원풍 관제 개혁 후에는 기본적으로는 당의 칙수고신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 글은 북송의 칙수고신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가한 것은 아니다. 다만 현전하는 자료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당시 작성된 고신의 형태로 복원 하였고 교감을 하여 후일의 연구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후의 과제는 북송의 고신과 남송의 고신 전반을 아우르는 연구와 함께 고려시대 고신 연구에 점진적인 해명을 시도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argets Chishougaoshen(勅授告身) which is one of Gaoshen(warrant) styles of Northern Song Dynasty. According to a survey, there were total 6 Chishougaoshen in Northern Song Dynasty, and one of them was a real document. In this research, these 6 documents were considered by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bureaucracy reformation of Yuanfeng(元豊). Chishougaoshen of Northern Song Dynasty has the identical styles to those made in Tang Dynasty, since it succeeded to Gaoshen styles of Tang Dynasty. However, bureaucracy in the real document was different from Tang Dynasty 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Lingwaiguan(government service without statutes) that was went by the name of a dispatch(Chiqin), substituted for official duties of officials in documents made before the bureaucracy reformation of Yuanfeng. On the contrary, documents made after the bureaucracy reformation of Yuanfeng had unique styles of Northern Song Dynasty,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like Privy Council wasn t abolished, although they were modeled on Tangliudian of Tang Dynasty. This paper aims to analyze document styles of Goryeo Dynasty through Northern Song Dynasty s in China. Therefore, not only documents of Northern Song Dynasty, but also documents drawn up in Southern Song Dynasty need to be considered to understand document structures of the whole East Asia and find out how they had influence on document styles of Goryeo Dynasty.

목차

1. 머리말
2. 당의 칙수고신 양식
3. 북송의 칙수고신
1) 원풍관제 이전의 칙수고신
2) 원풍관제 이후의 칙수고신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영환(Shim, Young-hwan). (2010).北宋代 勅授告身 試論. 태동고전연구, 26 , 1-38

MLA

심영환(Shim, Young-hwan). "北宋代 勅授告身 試論." 태동고전연구, 26.(2010):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