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몽골시대 高麗의 王命

이용수 90

영문명
Royal Commands of Goryeo in Era of Mongol Empire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沈 永 煥(Sim Young-hwan)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29집,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몽골시대 고려는 몽골제국(Mongghol Empire)의 외연에서는 자주적인 사직(社稷)을 가지고 있는 ‘國’이었지만, 내부에서는 공주(公主)의 강가(降嫁)를 통한 대몽골 울루스(Dai Ön Yeke Mongghol Ulus)의 일원인 부마(駙馬, güregen)라는 이중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몽골과 고려의 관계는 기왕의 중국의 왕조와 맺었던 책봉(冊封)과 조공(朝貢)의 형태와는 달랐고, 관제 (官制)를 비롯한 정치구조는 몽골제국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몽골시대 고려는 몽골의 행정감독관인 다루가치(darughachi, 達魯花赤)의 힐난에 따라 기왕에 사용하던 선지(宣旨)를 왕지(王旨)로 고쳤다. ‘宣旨’란 만당(晩唐)에서 오대(五代)와 북송(北宋)을 거쳐 형성된 추밀원(樞密院)에서 발령하였던 황제의 의지(意志)를 말한다. 고려는 성종 10년(991) 10월에 북송의 추밀원을 참작하여 중추원(中樞院)을 설치하였고, 이를 통해 ‘宣旨’를 도입한 것으로 보인다. 고려는 국왕이 ‘王旨’라는 명령을 국왕의 의지로 채택하자 상왕(上王)이나 심왕(瀋王)은 균지(鈞旨)라는 명령을 사용하였다. 몽골시대 황제의 의지는 ‘ǰarliq’인데 이를 한자어로는 성지(聖旨)라 하고, 한어체로 명령문을 작성할 때는 ‘詔書’라고 하였다. 이에 반해, 황태후의 의지 (懿旨), 황태자의 영지(令旨), 제사(帝師)의 법지(法旨), 재상과 부마의 균지(鈞 旨)는 한자어는 달라도 모두 몽골어 ‘üge(言語)’의 이칭이었다. 그러므로 몽골 시대 고려 국왕의 ‘王旨’와 상왕과 심왕의 ‘鈞旨’는 모두 몽골어 ‘üge’의 이칭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몽골시대 고려국왕의 명령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는 공신문서 3점이 전사본으로 남아 있다. 이들 공신문서는 몽골의 문서양식을 차용하여 작성되었 다. 곧, ‘皇帝福廕裏(황제의 福廕에)’라는 전형적인 몽골 명령문의 기두어(起頭 語)를 차용하고 있다. 그런데 고려는 ‘몽골어 직해체’라는 몽골시대 문체(文 體)를 수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공신문서는 본문은 한어체로 작성되었고, 결사(結辭) 또한 세조 쿠빌라이(Qubilai) 이후 확립된 성지(聖旨, ǰarliq)의 한어식(漢語式) 양식인 ‘詔書’ 양식을 차용하여 작성하였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몽골시대 고려국왕의 공신문서는 ‘王旨’의 일종으로 ‘üge(言語)’의 한 종류였던 것이다. 이후, 고려는 다시 공민왕대의 반원정책에 이어서 명(明)나라의 등장과 북원(北元)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문서 양식을 도모하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oryeo Dynasty in the era of the Mongol Empire had dual-conceptualized standings especially in terms with the Empire; more specifically, although it was a nation externally having an autonomous ruling power (or sovereignty, 社稷), Goryeo was, in the inner manifestation, a güregen(駙馬) that constituted a part of Dai Ön Yeke Mongghol Ulus, being in a status of imperial son in law through marriage with a princess of the Empire s royal famil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ryeo and the Mongol was clearly far from that with the earlier Chinese dynasties being characterized by investiture and tribute, which meant that the Goryeo s political system including its administrative system was mandated to be in accord with that of the Empire. The Goryeo Dynasty in the era of the Mongol Empire replaced Sun-ji(宣旨) used up to then to Wang-ji(王旨), submitting to condemning pressure by Darughachi, executive officials designated by the Empire, where the former indicated an emperor s wishes issued by Chumil-won(樞密院, an advisory board to aid king) existing from the end of Tang Dynasty through Five Dynasties and North Song Dynasty. The Goryeo, taking Chumil-won of the North Song into consideration, established Jungchu-won(中樞院) through which Sun-ji was thought to be introduced. As the term Wang-ji was adopted by a king of the Goryeo Dynasty as mentioned above, orders of precedent kings or kings Shim(瀋王, a king forced to stay in China or Mongolia as a sort of hostage) were called Gyun-ji(鈞旨). The term corresponding to emperor s order or wish in the Mongghol Era was ‘ǰarliq’ in Mongolian, matching with Sung-ji(聖旨) in Chinese character or In-seo(詔書) when written in an imperative statement. Meanwhile, an order or wish commanded by an empress was in Chinese expressed as Eui-ji(懿旨); similarly, Young-ji(令旨) in the case of emperor s son (crown prince), Beop-ji(法旨) in the case of Jesa(帝師) and Gyun-ji(鈞旨) in the case of prime minister and king s son-in-law. Despite being different in terms of Chinese characters, they all equivalently meant ‘üge(言語)’ in Mongolic. In this sense, it can be known that such terminology used in Goryeo as Wang-ji and Gyun-ji be identical to Mongolian ‘üge’. There remains three pieces of scripts documenting the achievements of meritorious retainers from which orders of kings in the Goryeo Dynasty can be paleographically investigated. These documents were made following the Mongghol Empire s documental style. More strictly, they borrowed Gidu words(起頭語) that were typical in ancient Mongolian imperative sentences citing as ‘皇帝福廕裏(in the emperor’s grace)’. Nevertheless, the Goryeo Dynasty did not adopt the writing style of the Mongghol Empire called as Jikhaeche in a Mongolic language. Namely, main texts of the archive containing records about vassals of merit were made up with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by particularly conforming to the‘詔書’ style in terms of their Gyeolsa(結 辭), an expression in the Chinese language style for delivering Sung-ji (聖旨, ǰarliq), which had been popular since Qubilai Khan. In other words, it could be concluded that documents with regards to meritorious retainers of the Goryeo Dynasty in the era of the Mongol Empire be written in ‘üge(言語)’ as part of Wang-ji. Since then, the Goryeo Dynasty once again pursued a new writing style for documentation amid the complicatedly developing foreign situations from anti-Won policy by King Gongmin to emergence of the Myung Dynasty and correlation with the North Won Dynasty in China.

목차

1. 머리말
2. 宣旨에서 王旨로
3. 王旨에서 鈞旨로
4. 몽골시대 고려의 王命
5. 몽골시대 고려의 功臣文書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沈 永 煥(Sim Young-hwan). (2012).몽골시대 高麗의 王命. 태동고전연구, 29 , 1-38

MLA

沈 永 煥(Sim Young-hwan). "몽골시대 高麗의 王命." 태동고전연구, 29.(2012):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