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問차餘響』과 『日觀唱酬』 所載 南玉의 酬應詩 比較 硏究

이용수 18

영문명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진영미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3집, 109~165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1
9,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763년 7월 24일, 英祖의 부름에 입시하여 작시능력을 시험받고 칭찬까지 받았던 秋月 南玉(1722~1770)은 1763~4년 계미-갑술 통신사 사행시 제술관으로서 임무를 수행하는 동안 줄곧 일본문사들의 시에 화답한 자신의 수응시에 대해 부끄러워하고 급기야 수응제도 자체를 폐지하자고까지 주장한다. 본고에서는 그 직접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문사여향』에 대한 서지 사항과, 서문을 쓴 那波師曾 및 추월과 시를 주고받은 주요 일본문사들(石川貞·田立松·伊藤一元·星野貞之 등)에 대해 살펴본 뒤, 이어 『문사여향』과 『일관창수』에 수록된 추월의 수응시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몇 가지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다. 추월은 일본에서 일본문사들에게 수응했던 시 곧 『문사여향』에 수록된 시를, 귀국하여 여유를 갖고 『일관창수』로 묶으면서 손질을 하게 된다. 제목의 경우는 통일을 기하면서 동시에 자호와 성씨에 대한 過禮와 非禮的인 표현 등을 손질하였고, 시 내용의 경우는 추월 나름대로의 시적 성취도에 준하여 수정여부를 결정하였다. 문제가 없다고 생각되는 절반 정도는 전혀 수정을 하지 않은 채 『일관창수』에 그대로 수록하였고, 표현이 군색하거나 평측이 부자연스러운 부분은 물론 내용이 실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시구 등은 모두 꼼꼼하게 수정하였다. 이런 수정 사실을 통해 우리는 추월의 수응시에 대한 부끄러움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Chuwol Nam-Ok (秋月南玉, 1722~1770), who had answered King Yeongjo`s call to government service by taking the government examination on July 24, 1763, had his versification skills tested and even received praise for his talents. From 1763 to 1764, when he served as a Jesulgwan, or a government scholar who dealt with foreign affairs, during the Gyemi diplomatic mission, he mainly worked on responding in kind to the poems given by Japanese literary scholars. However, he was embarrassed by the poems he wrote as replies and, in the end, even argued that they should discontinue such a system of responding to poems with poem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auses that directly contributed to this development.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particulars of the introduction to Munsayeohyang (問차餘響) and Napasajeung (那波師曾), who wrote the preface, as well as other major Japanese scholars who had exchanged poems with Chuwol, including Seokcheonjeong (石川貞), Jeollipsong (田立松), Ideungilwon (伊藤一元), and Seongyajeongji (星野貞之). Chuwol`s reply poems contained in Munsayeohyang (問차餘響) and Ilgwanchangsu (日觀唱酬) were carefully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huwol`s poems written as replies to the Japanese scholars while he was in Japan were quickly collected into Munsayeohyang (問차餘響), but once he returned to Korea and had more time, he made revisions to the poem and collected the poems again into Ilgwanchangsu (日觀唱酬). In the case of titles, aiming at unification, he revised expressions that were too polite or impolite regarding one`s title or family name, and in the case of poem content, Chuwol also prepared his own assessment of poetic accomplishment and decided whether to apply revisions or not. About half of what he wrote was collected into Ilgwanchangsu (日觀唱酬) without any revisions, but the other portions that he felt were of poor quality or were poetically awkward, or those that did not appropriately reflect reality were all meticulously revised. By examining the revisions that were made, we discover in detail what Chuwol was embarrassed about regarding his reply poe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영미. (2011).『問차餘響』과 『日觀唱酬』 所載 南玉의 酬應詩 比較 硏究. 동방학지, 153 , 109-165

MLA

진영미. "『問차餘響』과 『日觀唱酬』 所載 南玉의 酬應詩 比較 硏究." 동방학지, 153.(2011): 109-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