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금속으로 오염된 사력재의 댐축조 재료 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수치 모델링

이용수 0

영문명
Numerical Simulation for Evaluation the Feasibility of Using Sand and Gravel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for Dam Embankment Materials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석희준(Heejun Suk) 서민우(Min-Woo Seo) 김형수(Hyoung-Soo Kim) 이정민(Jeong-Min Lee)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0권 2호, 209~22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4.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이나 자갈을 댐 축조 재료로 사용할 경우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하기 위하여 댐 침투수와 오염물 거동에 대한 수치 모의를 실시하였다. 두 가지 상용 프로그램(SEEP2D 와 FEMWATER)을 이용하여 침투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치 모의의 신뢰성을 획득하 였다. 특히 오염된 댐 축조재료로 인한 환경적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세 가지 시나리오, 즉 댐체에 균열이 없는 경 우(시나리오 1), 댐의 차수벽 역할을 하는 표면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시나리오 2), 댐체 하부 즉 프린스와 콘크리트 슬래브와 접촉부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시나리오 3)에 대하여 각각 수치 모의를 실시하였다. 침투수 해석 결과, 슬래브 상부에 균열이 있는 경우, 즉 시나리오 2에서 계산된 단위폭당 침투수량은 14.311~14.924 m3/day으로 다른 경우에 비해 약 1,000배 큰 값을 보였다. 또한 FEMWAT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오염물 거동을 수 치모의하였다.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침출되어 나오는 상황을 고려하여 주축조구역은 농도 13 ppb가 지속적으로 유 지되도록 초기조건을 설정하였다. 오염물 거동분석 결과 시나리오 1에서 2 ppb 정도의 오염물이 댐체 하류 부분에 도 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최소 55,000년이었으며, 시나리오 2의 경우 약 50년 정도, 마지막으로 시나리오 3의 경우 27,000년이였다. 댐체 상부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는 댐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500배 이상 빠른 유속이 나타나기 때문에 오염물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당히 빠르게 퍼져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적으로 슬래브 상부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 100년 이내에 댐체 하부로 2 ppb 이상의 오염물이 전달될 가능성이 있 음을 확인하였지만, 균열이 없거나 슬래브 하부에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는 오염물이 외부로 이동될 가능성이 거의 없 었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로 균열 발생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면, 본 연구에서 제 안한 오염된 사력재의 CFRD 내부 축조재료로의 활용은 고려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neighboring environment in case a dam is constructed by using rockfill materials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The numerical simulation carried out in this research includes both subsurface flow and contaminant transport in the inside of the CFRD(Concrete Faced Rockfill Dam), using two commercial programs, SEEP2D and FEMWATER. The three representative cases of scenarios were chosen to consider a variety of cases occurring in a dam site; (1) Scenario 1 : no crack in the concrete face slab, (2) Scenario 2 : a crack in the upper part of face slab, and (3) Scenario 3 : a crack between plinth and face slab in the lower part of face slab. As a result of seepage analysis, the amount of seepage in scenario 2 was calculated as 14.311~14.924 m3/day per unit width, corresponding to the 1,000 times higher value than that in other scenarios. Also, in the simulation of contaminant transport by using FEMWATER, specified contaminant concentration of 13 ppb in main rockfill zone was set to consider continuous leakage from the rock materials. Through the analysis of contaminant transport, we found that elapsed times to take for the contaminant concentration of about 2 ppb to arrive at the end of a dam are as follows. Scenario 1 has the elapsed time of 55,000 years. In Scenario 2, it is 50 years. Finally, scenario 3 has 27,000 years. The rapid transport of the contaminant in scenario 2 was attributed to greater seepage flow by 500 times than other scenarios. Although, in case of upper crack in the face slab,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ntaminant might transport to the end of a dam within 100 years with about 2 ppb concentration, however, it happened that the contaminant was hardly transported out of the dam in other scenarios, which correspond to either no crack or a crack between plinth and face slab. In conclusion, the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alternative usage of the contaminated sand and gravel as the dam embankment material can be one of the feasible methods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cracks in a face slab could be controlled adequately.

목차

1. 서 론
2. CFRD 수치 해석 개요
3. 침투수 분석
4. 오염물 거동 수치모의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석희준(Heejun Suk),서민우(Min-Woo Seo),김형수(Hyoung-Soo Kim),이정민(Jeong-Min Lee). (2007).중금속으로 오염된 사력재의 댐축조 재료 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수치 모델링. 자원환경지질, 40 (2), 209-221

MLA

석희준(Heejun Suk),서민우(Min-Woo Seo),김형수(Hyoung-Soo Kim),이정민(Jeong-Min Lee). "중금속으로 오염된 사력재의 댐축조 재료 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수치 모델링." 자원환경지질, 40.2(2007): 209-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