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물자원탐사를 위한 거도광산지역의 산화형 스카른 금광상모델 예비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Preliminary Study of Oxidized Au skarn Model in the Geodo Mine Area to Mineral Exploration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김의준(Eui-Jun Kim) 박맹언(Maeng-Eon Park) 성규열(Kyul-Youl Sung)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2권 4호, 289~30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백산 광화대 중부에 위치한 거도광산은 최근 수 십년간 휴광상태이지만, 1963년부터 철과 동을 개발하였던 지역 이다. 거도광산 지역은 장산규암, 묘봉층, 풍촌층, 화절층, 동점층 및 두무골층과 후기에 이를 관입한 백악기 어평화강 암체로 구성되어 있다. 거도 스카른을 형성시킨 어평화강암체의 조성은 상대적으로 산화된(Fe2O3/FeO=0.3~1.1) 자철 석계열의 석영몬조섬록암과 화강섬록암으로, 이들의 관입은 묘봉층, 풍촌층 및 화절층 내에 스카른 광화작용을 발달 시켰다. 근지 외성 스카른은 어평화강암체 인근의 철이 부화된 안드라다이트(andradite) 석류석(Ad44-95Gr1-53)이 우세 한 지역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철이 결핍된 투휘석(Hd10-100Di0-89)이 우세한 지역의 순으로 대상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석류석과 휘석의 다른 분포 특성은 모암의 조성 및 물/암석비 등의 차이에 기인된 것으로, 전체 스카른 시스템의 산 화정도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거도광산의 금은 주로 근지의 적갈색 내지 갈색의 석류석이 우세한 스카른에서 산출되며, 성인적으로 함 비스무스-텔루륨 광물들과 밀접한 공생관계를 가진다. 거도광산의 금광작용과 관련된 관입암 의 화학조성, 스카른대의 분포와 금의 산출특성 등은 산화형 스카른 금광상의 환경을 지시하며, 높은 석류석/휘석비를 갖는 스카른대가 탐사대상이 된다. 그러나 연구지역의 수평적 대상분포 외에 수직적 대상분포 특성에 대한 정밀탐사 가 요구된다. 이는 거도광산 스카른대의 3차원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보다 체계적 탐사 및 구체적 개발 방안을 제 시하는 중요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eodo mine area, had been developed for Fe and Cu ores since 1963 and abandoned in recent decades,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Taebaeksan mineralized district. This area comprises of the Jangsan, Myobong, Pungchon, Hwajeol, Dongjeom, and Dumugol Formations in ascending stratigraphic order. These Formations were intruded by the Cretaceous Eopyeong granitoids that appears to produce the Geodo skarn. Their compositions are relatively oxidized quartz monzodiorite to granodiorite (magnetite series, Fe2O3/FeO=0.3~1.1). Mineralizations related skarn deposit occur in the Myobong, Pungchon, and Hwajeol Formations. The proximal skarn is zoned from andraditic garnet (Ad44-95Gr1-53) predominant adjacent to the Eopyeong granitoids to diopsidic pyroxene (Hd10-100Di0-89) predominant away from the one. The differential proportion of garnet and pyroxene is generated by water/rock ratio and their source, such as magmatic and meteoric water. This is useful tool for assessment the overall oxidation state of the entire skarn system. Gold occurs in proximal red to brownish garnet skarn, and genetically associated with Bi- and Te-bearing minerals. Skarn deposit developed in the Geodo mine area is considered as oxidized Au skarn category, based on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opyeong granitoids, zonation of skarn, and gold occurrences. Garnet-rich skarn zone will be the main target for exploration of gold in the study area. However, it is needed to the detailed survey on vertical zonation of this area as well as lateral zonation. The result of this survey would provide an important basis for the exploration of the skarn Au deposit in the Geodo mine area.

목차

1. 서 론
2. 태백산분지의 광역지질
3. 거도광산
4. 토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의준(Eui-Jun Kim),박맹언(Maeng-Eon Park),성규열(Kyul-Youl Sung). (2009).광물자원탐사를 위한 거도광산지역의 산화형 스카른 금광상모델 예비연구. 자원환경지질, 42 (4), 289-300

MLA

김의준(Eui-Jun Kim),박맹언(Maeng-Eon Park),성규열(Kyul-Youl Sung). "광물자원탐사를 위한 거도광산지역의 산화형 스카른 금광상모델 예비연구." 자원환경지질, 42.4(2009): 289-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