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운산 셰일층의 지화학적 연구:

이용수 47

영문명
Geochemical Study of the Jigunsan Shale: A Sequence Stratigraphic Application to Defining a Middle Ordovician Condensed Section, Taebacksan (Taebaeksan) Basin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유인창(In-Chang Ryu) 유선영(Sun-Young Ryu) 손병국(Byeong-Kook Son)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2권 1호, 27~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태백산분지 백운산향사대의 남익부를 따라 약 30 m 두께로 노출되어 있는 오오도비스 중기의 직운산셰일층은 그동안 탄산염 대지환경에서 퇴적된 막골석회암층를 피복하는 해침상의 셰일층으로 단순히 해석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연구의 결과들은 직운산셰일층 대부분이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에 나타나는 유기물질이 풍부한(>3 wt.%) 흑회색 셰일로 구성된 약 240 cm 두께의 최대해침기 동안에 퇴적된 박층의 해성층 위를 피복하는 해퇴상의 셰일층으로 해석될수 있음을 지시한다. 정밀 층서 분석과 병행하여 실시한 주성분원소 분석, 조성광물 분석, 미량원소 분석 및 총유기탄소와 무기탄소 분석은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에 나타나는 박층의 해성층을 고수위기 초기 동안에 밀도변환면이 확장됨에 따라 형성된 특징적인 무산소환경에서 퇴적된 응축층으로 규정하기를 허락한다. 아울러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내에서 해침면, 최대해침면, 최소퇴적감소면, 해퇴개시면과 같은 시퀀스층서학적 또는 환경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뚜렷한 특징의 층서면들이 인지되었다. 이러한 층서면들은 향후 태백산분지 내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의 정교한 지역간 층서대비 및 구조운동에 따른 층서적 변이와 함께 분지발달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이끌어 내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A 30-m-thick Middle Ordovician Jigunsan Shale exposed along the southern limb of the Backunsan (Baekunsan) Syncline, Taebacksan (Taebaeksan) basin, has been simply considered as a transgressive shale sequence onlapped the underlying Maggol platform carbonates.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suggest that majority of the Jigunsan Shale be interpreted as a regressive shale sequence downlapped onto a thin (ca. 240 cm) marine stratigraphic unit consisting of organic-rich (>3 wt.% of TOC) black shales in the lower Jigunsan Shale, which was accumulated at the time of maximum regional transgression. Detailed stratigraphic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XRD, XRF, and ICP-MS as well as Rock-Eval pyrolysis allows the thin marine stratigraphic unit in the Jigunsan Shale to define a condensed section that was deposited in a distinctive euxinic zone formed due to expansion of pycnocline during the early highstand phase. As well, a number of stratigraphic horizons of distinctive character that may have sequence stratigraphic or environmental significance, such as transgressive surface, maximum flooding surface, maximum sediment starvation surface, and downlap surface, are identified in the lower Jigunsan Shale. In the future, these stratigraphic horizons will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to make a coherent regional stratigraphic correlation of the Middle Ordovician strata and to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stratigraphic response to tectonic evolution as well as basin history of the Taebacksan Basin.

목차

1. 서 론
2. 일반지질 및 층서개요
3. 직운산셰일층
4. 연구방법
5. 분석결과
6. 토 의
7.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인창(In-Chang Ryu),유선영(Sun-Young Ryu),손병국(Byeong-Kook Son). (2009).직운산 셰일층의 지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42 (1), 27-53

MLA

유인창(In-Chang Ryu),유선영(Sun-Young Ryu),손병국(Byeong-Kook Son). "직운산 셰일층의 지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42.1(2009): 2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