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의 주요 몰리브덴 광화작용과 화성활동

이용수 71

영문명
Major Molybdenum Mineralization and Igneous Activity, South Korea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최선규(Seon-Gyu Choi) 구민호(Min-Ho Koo) 강흥석(Heung-Suk Kang) 안용환(Yong Hwan Ahn)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4권 2호, 109~12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 주요 몰리브덴 광상은 쥐라기 대보 조산운동기부터 후조산기인 백악기를 거쳐 제삼기까지 페그마이트형, 그라 이센형, 스카른형, 반암형, 광맥형 광상과 같은 다양한 광상 유형으로 배태되고 있다. 장수 몰리브덴 광산은 쥐라기 티 탄철석 계열 복운모 화강암과 관련된 페그마타이트 광상으로 배태되며, 광화 시기는 159.6±4.5 Ma이다. 금성 몰리브 덴 광산은 분화가 매우 진행된 화강암과 관련된 스카른형/반암형 광상으로 큐폴라 광체의 광화시기는 96.5~107.5 Ma 를 보이며, 황강리 광화대에 나타나는 후기 백악기 광화시기와 일치하고 있다. 연일 몰리브덴 광산은 반암형 광상으 로 배태되고, 금음 몰리브덴 광산은 전단대를 따라 충진하는 석영 세맥으로 배태되며, 광화 시기는 각각 58.4±1.6 Ma 과 54.4±1.2 Ma이다. 한국의 중생대 몰리브덴 광상은 조구조적 진화 특성에 따라 쥐라기에는 심부 화성활동을 반영 한 페그마타이트질 맥상 광상으로 산출되는 반면, 백악기에는 천부 화성활동과 관련된 스카른형/반암형/광맥형 광상으 로 배태된다. 특히 제삼기 몰리브덴 광화작용은 한반도 동해안을 따라 배태되는 제삼기 분지형성과 연계된 화성활동 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e major Mo deposits in South Korea were formed during the Jurassic Daebo orogeny, the Late Cretaceous and the Tertiary post-orogenic igneous activities, and are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genetic types such as pegmatite, greisen, skarn, porphyry and vein types. The Jangsu mine is a pegmatite-style deposit which is genetically related to the Jurassic ilmenite-series two-mica granite with the Mo mineralization age of 159.6±4.5 Ma. The Geumseong mine occurs as a skarn/porphyry-style deposit associated with highly fractionated granite. Its age of Mo mineralization within aplitic cupola is about 96.5~107.5 Ma. The Yeonil mine is a porphyry-style deposit, and the Geumeum mine is a veinlet-style deposit along the fracture zone with their mineralization ages of 58.4±1.6 and 54.4±1.2 Ma, respectively. The contrasts in the style of Mo mineralization in Korea reflect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the related magmatism. The Jurassic mineralization, being related to deep-seated granitoids, occurs as a pegmatite-style deposit, whereas the Cretaceous one, being related to subvolcanic granitoids, occurs as skarn/porphyry/vein-type ore deposits. The Tertiary Mo mineralizat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gneous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Tertiary basin formation along the east coast, Korean peninsular

목차

1. 서 언
2. 중생대 몰리브덴 광상 유형
3. 쥐라기 광화작용: 장수 지역
4. 백악기 광화작용: 제천-단양 지역
5. 제삼기 광화작용: 평해-연일 지역
6. 토의 및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선규(Seon-Gyu Choi),구민호(Min-Ho Koo),강흥석(Heung-Suk Kang),안용환(Yong Hwan Ahn). (2011).남한의 주요 몰리브덴 광화작용과 화성활동. 자원환경지질, 44 (2), 109-122

MLA

최선규(Seon-Gyu Choi),구민호(Min-Ho Koo),강흥석(Heung-Suk Kang),안용환(Yong Hwan Ahn). "남한의 주요 몰리브덴 광화작용과 화성활동." 자원환경지질, 44.2(2011): 109-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