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해 울릉분지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태와 퇴적물 특성의 관계

이용수 31

영문명
Relationships between Gas Hydrate Occurrence Types and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저자명
김대하(Dae-Ha Kim) 박장준(Jang-Jun Bahk) 이진혁(Jinheuck Lee) 류병재(Byong-Jae Ryu) 김지훈(Ji-Hoon Kim) 천종화(Jong-Hwa Chun) Marta E. Torres 장찬동(Chandong Chang)
간행물 정보
『자원환경지질』45권 3호, 397~40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지질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0년 2차 울릉분지 가스 하이드레이트 시추 (UBGH2)를 통하여 총 10개 정점에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함유 퇴적 물 코아를 채취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열화상 분석과 입도분석 결과에 따라 퇴적물 입도분포, 온도 이상(ΔT), 가스 하 이드레이트 포화도,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태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유형 I(니질층의 단열을 충진하는 형태), 유형 II(니질층의 산재하는 형태), 그리고 유형 III(사질층의 공극을 충진하는 형태)로 분류하 였다. 입도분석 결과, 유형 I과 II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함유 및 미함유 구간 모두 입도가 유사한 니질층으로 이루어 진 반면, 유형 III는 입도가 뚜렷이 구별되는 사질층과 니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형 III에서는 모래 함량이 증가 할 수록 가스 하이드레이트 포화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열화상에서 분석된 ΔT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태와 상관없이 가스 하이드레이트 포화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인다. 시추지점의 암상과 탄성파 단면의 특징에서 보면, 탄 성파 단면에서 침니 구조가 나타나는 지점은 유형 I이, 사질층이 거의 없는 분지사면에서는 유형 II가, 저탁류 사질 층이 자주 협재하는 지점에서는 유형 III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보아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 태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함유 지층의 지질학적 특징과 관련 있으며, 특히 퇴적물의 입도분포에 큰 영향을 받음을 보 여준다.

영문 초록

During the 2nd Ulleung Basin Gas Hydrate Drilling Expedition (UBGH2) in 2010, gas-hydrate-bearing sediment cores were recovered at 10 drill sites. Base, on Infrared (IR) thermal image and grain-size analysis of the cores, three distinct types of gas hydrate are classified: Type I (fracture-filling in mud layers), Type II (disseminated in mud layers), and Type III (pore-filling in sand layers). Types I and II gas hydrates occur in mud as discrete veins, nodules or disseminated particles. Type III fills the pore spaces of the sand layers encased in mud layers. In this case, the sand content of hosting sediments shows a general linear relationship with gas hydrate saturation. The degrees of temperature anomalies (ΔT) from IR images generally increase with gas hydrate saturation regardless of gas hydrate occurrence types. Type I is dominantly found in the sites where seismic profiles delineate chimney structures, whereas Type II where the drill cores are composed almost of mud layers. Type III was mainly recovered from the sites where hemipelagic muds are frequently intercalated with turbidite sand layers. Our results indicate that gas hydrate occurrence is closely related to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 of gas hydrate-bearing sediments, that is, grain size distribution.

목차

1. 서 론
2. 연구지역
3. 연구방법
4. 결 과
5. 토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태와 퇴적학적 특성의 상관관계
6.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하(Dae-Ha Kim),박장준(Jang-Jun Bahk),이진혁(Jinheuck Lee),류병재(Byong-Jae Ryu),김지훈(Ji-Hoon Kim),천종화(Jong-Hwa Chun),Marta E. Torres,장찬동(Chandong Chang). (2012).동해 울릉분지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태와 퇴적물 특성의 관계. 자원환경지질, 45 (3), 397-406

MLA

김대하(Dae-Ha Kim),박장준(Jang-Jun Bahk),이진혁(Jinheuck Lee),류병재(Byong-Jae Ryu),김지훈(Ji-Hoon Kim),천종화(Jong-Hwa Chun),Marta E. Torres,장찬동(Chandong Chang). "동해 울릉분지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태와 퇴적물 특성의 관계." 자원환경지질, 45.3(2012): 397-4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