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윤선도의 금쇄동 경영과 「산중신곡」

이용수 381

영문명
A study on Yun Seon-do s Management of Geumsoaedong and Sanjungsingok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이상원(Lee Sang wo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36권, 5~4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윤선도의 「산중신곡」이 금쇄동 경영과 직접적 관련 속에서 산출된 작품이라는 것을 입증하고 거기에 입각해 <만흥>과 <오우가>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 것이다. <만흥>은 금쇄동 원림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회심당을 중심으로 그 주변 일대의 자연을 즐기는 과정에서 맛보게 된 흥취를 노래한 작품이다. 6수 중 제1수는 전체의 서사에 해당하는 것으로 회심당을 짓고 금쇄동을 경영하는 것이 자신의 본분임을 밝힌 것이다. 제2수~제5수는 본사에 해당하는데 이는 다시 둘로 세분된다. 제2수와 제3수는 회심당 주변에서 화자가 자연을 즐기는 구체적 모습을 표현한 것이고, 제4수와 제5수는 회심당 중심의 금쇄동 생활에 대한 만족감을 드러낸 것이다. 마지막 제6수는 결사로서 모든 것을 군은(君恩)으로 돌리고 있는데, 이는 상투적인 마무리라기보다는 금쇄동의 자연을 접하면서 실제로 느낀 심정을 표현한 것이다. <오우가>는 다섯 개의 자연물을 내세워 그것의 덕성을 칭송하고 있는 작품이다. 그런데 여기 선택된 다섯 개의 자연물과 그 덕성은 윤선도가 금쇄동에서 새롭게 발견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과 바위는 천석고황(泉石膏肓)이라는 표현에서 보듯 대표적 자연물로 인식되어 왔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그 소중함을 깨닫지 못했던 것들이다. 윤선도는 이들에 대한 소중함을 새삼 느꼈기에 오우의 대상으로 삼았다. 솔과 대는 사시(四時)에 푸르름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익히 주목되어 온 것들인데 윤선도가 이들을 오우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이것 때문만은 아니다. 윤선도가 이들을 선택한 것은 땅 속 깊이 박혀 있는 소나무 뿌리의 곧음이나 속이 텅 비어 있는 대나무의 속성과 같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내면의 덕성을 새롭게 발견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의 달 역시 금쇄동에서 수시로 만나면서 작은 것의 위대함을 직접 깨닫게 되었기에 오우 중 대표적인 것으로 선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demonstrate that Yun Seon-do created Sanjungsingok based on his direct connections to the management of Geumsoaedong and make an attempt at interpreting his Manheung and Owooga based on the findings. Yun created Manheung out of joy he felt in the process of enjoying the nature surrounding Hoishimdang that took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Geumsoaedong garden. It consists of total six poems. Poem 1 is the prologue and tells that his duty was to build Hoishimdang and manage Geumsoaedong. Poems 2~5 make up the main body, which is then divided into two parts: Poems 2 and 3 offer detailed depictions of the speaker enjoying nature around Hoishimdang, and Poems 4 and 5 show his satisfaction with his life in Geumsoaedong around Hoishimdang. Poem 6 is the conclusion in which the speaker attributes all of it to the royal benevolence. It is the expression of what he felt in his contact with nature in Geumsoaedong rather than a conventional finish. In his Owooga, Yun introduces five natural objects and praises their virtu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he newly found those five natural objects and their virtue in Geumsoaedong. As the expression Cheonseokgohwang tells, water and rocks have been regarded as representative natural objects. It is a paradox that people do not realize their preciousness because they are representative natural objects. Yun realized their preciousness anew and made them his objects of Owoo. Both the pine tree and bamboo tree have long attracted attention as they remain green throughout the four seasons of the year. It is not the only reason, however, that he made them his objects of Owoo. He chose the two because he discovered their internal virtue not seen on the outside anew: the pine tree has straight roots deep in the ground, and the bamboo tree has a unique attribute of hollowness inside. Finally, he chose the moon because he realized the greatness of small things himself while seeing it frequently in Geumsoaedong.

목차

1. 서론
2. <만흥> : 회심당 주변에서 맛본 화자의 흥취
3. <오우가> : 금쇄동에서 발견한 자연의 미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원(Lee Sang won). (2017).윤선도의 금쇄동 경영과 「산중신곡」.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6 , 5-40

MLA

이상원(Lee Sang won). "윤선도의 금쇄동 경영과 「산중신곡」."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36.(2017): 5-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