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죄와 무고를 구분하는 이원적 형사보상제도 운영의 필요성

이용수 163

영문명
A Study on Criminal Compensation for Wrongful Conviction: A Distinction between the Innocent and not Guilty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박미랑(Park Mi Rang)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5권 2호, 78~106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의 형사보상제도에 관하여 이제껏 논의되지 않았던 판결 오류구분을 통한 형사보상제도의 이원적 운영의 필요성을 이야기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형사보상제도는 판결이 종료된 이후 무죄판결을 받은 자에 대한 보상이다 보니 실질적으로 타 분야에 비하여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기존의 논의들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대한 판례 평석을 검토하고, 형사보상제도의 역사와 본질에 대한 논의, 그리고 미국의 형사보상제도에 대한 소개에 머물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형사보상 금액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는 물론, 법률의무설과 공평설이외의 손해전보제도로서의 형사보상제도의 본질을 정리하거나 미국의 무고한 피고인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넘어선 실질적 사회복귀 지원에 초점 맞추어진 형사보상제도를 소개하였다. 현재 운영되는 우리나라의 형사보상제도를 살펴보면 몇 가지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첫째, 보상금 결정기간이 법률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 둘째, 권리보호에 미흡한 지급청구절차, 셋째, 예산부족으로 인한 지급지연의 문제 등으로 법률과 시행령의 수정 필요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무죄와 무고가 구분되지 않는 점이다. 국가의 위법한 행동에 대한 보상이 무고한 사람에 대한 보상과 합리적 의심을 입증하지 못한 수준에서 무죄판결을 받은 사람과 구분되지 않는 것도 문제이지만, 대다수의 형사보상제도의 수혜자가 무고한 사람이 아닌 무죄판결을 받은 사람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2종 오류까지 희석된 다수의 무죄판결 피고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진실로 무고한 사람들에 대한 사회복귀에 초점 맞춰진 보상이 미흡하다. 형사소송과정에서 무고한 피해자에게 초점 맞추어진 이원적 형사보상제도의 운영 검토를 통해 이들에 대한 적극적 사회 통합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a close study on criminal compensation for wrongful conviction and to consider the necessary of a distinction between simple not-guilty offender and the innocence. Because the criminal compensation is a late process after a final court decision of not guilty, it has been not treated seriously as an important issue by legal practitioners and scholar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they have focused on the terms of the background, nature of the criminal compensation in United States, and the legal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against partial contents of the criminal compensation. The current paper found several problems of the Korean criminal compensation system. First, a problem which the decision period of criminal compensation was not indicated in the criminal procedure law. The maximum period was not indicated on the law, therefore, the decision sometimes takes more than one year. Second, a problem which did not equip a sufficient information for the overall compensation procedure. Even though the decision was made by the court, the offenders is required take an additional claims procedure to get paid the money in prosecution service. Third, it has suffered from lack of budget issue. The tight budget issue naturally is connected to late payment, Finally,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innocence and no-guilty. it could be problematic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innocent and not-guilty offende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a large of applicants of criminal compensation are the latter. That is, most of the budget have been paid for a large number of not-guilty offenders diluted with type-Ⅱ error, rather, the sincere compensation for the truly innocent offenders is insufficient without any additional social support for the community reintegration. The separate operation on the criminal compensation for the innocent offenders focused on the social reintegration support beyond simple monetary compensation should be considered by the scholars and legal practicers. Detailed discussion and policy implication will be covered in the context.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기
Ⅱ. 형사보상과 관련한 기존의 논의
Ⅲ. 현행 형사보상법의 문제
Ⅳ. 검증오류와 형사보상제도의 문제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랑(Park Mi Rang). (2016).무죄와 무고를 구분하는 이원적 형사보상제도 운영의 필요성.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5 (2), 78-106

MLA

박미랑(Park Mi Rang). "무죄와 무고를 구분하는 이원적 형사보상제도 운영의 필요성."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5.2(2016): 78-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