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379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Group Creativity Emerging Precess Experiences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조무정(Cho Moo Jeoung) 진석언(Jin Sukun)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16권 제2호, 35~5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이 집단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의 경험을 통해 집단 창의성의 본질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1년부터 3년까지 영재교육 수강 경력이 있는 총 12명의 6학년 과학 영재학생들이며, 자료 수집을 위한 현장 참관은 총 7회기 28차시에 걸친 1,400분의 수업을 개방적 관찰, 개인 면담 그리고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Nvivo 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3개 주제묶음 즉, ‘집단 속에서 공유되는 지식, 정 보 그리고 경험, 문제해결에 유의미한 아이디어의 위력,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질문, 경청이 기본이 되는 의사소통,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의사결정,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 집단을 이끎, 도와주고 도움 받는 상호 보완적 협력, 개인의 재능이 반영된 역할 분담, 집단과 공존하는 갈등, 집단을 변화시키는 관계적 행동, 집단을 유지시키는 긍정적 개인 특성, 유대관계 를 변화시키는 촉박한 시간, 초점에 맞춰 최소 개입하는 교사’로 범주화하였다. 집단 창의성발현과정의 경험에 대한 집단 창의성의 본질적 구조는 13개의 주제묶음들이 서로 관계성을 띄며, 복합적이고 동시다발적인 역동적 관계로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방법론 개선 차원에서 매우 실제적 가치가 있고, 영재학생들에게 집단 창의성을 촉진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the essential components of group creativity that can be observed while gifted students are participating in group activities that required them to utilize their creativity on the group level. The participants are 12 sixth graders in a special class for gifted students. Twelve gifted students, composed of three subgroups with four students each subgroup, experienced group creativity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4 months, from April to July 2014, specifically, for a total of 1,400 minutes in seven sess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pen observations and personal and/or group interview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1978)’s method of phenomenology and Nvivo 10, which is specially designed for data analysis i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irteen essential components of group creativity experiences in the complex and simultaneous dynamics. This study found were the followings: (1) sharing knowledge, ideas, and experiences, (2) effectiveness of the ideas useful for problem solving, (3) questioning that leads the processes of problem solving, (4) communication based on attentive listening, (5) effective or ineffective decision making, (6) leadership by members contributing to group tasks, (7) complementary cooperation, (8) role allotment based on individual strength, (9) conflicts existing throughout collective task, (10) interpersonal behaviors enhancing group dynamics, (11) positive personal characteristics, (12) limited time resource, which is typical of classroom learning, and (13) strictly, and intentionally, limited intervention by the teacher.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further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무정(Cho Moo Jeoung),진석언(Jin Sukun). (2016).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6 (2), 35-59

MLA

조무정(Cho Moo Jeoung),진석언(Jin Sukun).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6.2(2016): 35-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