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보상 소비성향과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74

영문명
Patterns of Self-reward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With Focus on Self-concept and Childhood Consumption Experiences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한성희(Han, Sung hee)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18권 제4호, 69~9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상소비를 계획적인 것과 비계획적인 것으로 구분하여 소비패턴을 분석하고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보상소비모델을 보다 정교화 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소비 1순위로 꼽힌 품목은 비계획적인 것과 계획적인 것 모두 의류, 신발, 가방, 장신구류에 관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여행과 외식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는데, 계획적 보상소비의 경우 여행상품에 대한 선택이 10%를 넘어섰다. 소비욕구충족은 비계획적인 것과 계획적인 보상소비 모두 자존의 욕구충족에 관한 것이 가장 높았으며, 인지, 심미, 생리적 욕구충족에 관한 것이 상위 4순위 안에 나타났다. 보상소비품의 평균 구매비용은 비계획적인 것과 계획적인 모두 20만원 미만인 경우가 22%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에 따른 군집은 2개로 분류되었다. 군집 1은 우월자아, 사회자아가 높은 집단이며, 군집 2는 열 등자아, 사회자아가 높은 집단이다. 군집 1은 남성과 기혼자의 분포가 많으며 사무직이 많고 월평균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고소득자의 분포가 많은 집단이다. 군집 2는 여성, 기혼자, 전업주부의 분포가 많고 월평균소득이 300-500만원 이하인 사람들이 많은 집단이다. 군집 1과 군집 2는 보상소비 후 감정형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비계획적인 것과 계획적인 보상소비 후 긍정감정은 군집 1이 군집 2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계획적인 보상소비 후 부정감정은 군집 2가 군집 1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자아개념의 세분화에 따른 집단별 보상소비 후 감정형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보상소비성향은 요인분석을 통해, 자아지향, 타인지향, 가치지향 보상소비성향으로 구분되었다. 회귀모형 의 β값 비교를 통해 각각의 보상소비성향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 중 상위 3순위를 분석하였다. 자아지향 보상소비성향은 사회, 우월, 열등 자아에 의해, 타인지향 보상소비성향은 우월자아, 연령, 어린시절 소비경험에 의해, 가치지향 보상소비성향은 어린시절소비경험, 성별, 우월자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상소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통적으로 자아지향 보상소비성향이었으며 자아지향 보상소비성향이 높을수록 비계획적인 것과 계획적인 보상소비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비계획적 보상소비는 연령이 적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소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적 보상소비는 보상빈도가 많을수록 자아지향 보상소비성향이 높을수록, 가치지향 보상소비성향이 낮을수록 소비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istinguish self-reward consumption into rational and emotional types, analyze consumption patterns, derive affective factors, and ultimately, provide further refinement to the self-reward consumption model.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ems related to clothing, shoes, bags, and accessories were ranked as the most popular on the list of self-reward consumption items, both in the rational and emotional types. These were followed by travel and eating out, and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chose travel as a means of rational self-reward consumption were 10%. With regard to the fulfillment of consumption wants, the fulfillment of want for self-esteem was ranked the highest in both the rational and emotional types, followed by cognitive, aesthetic, and physiological wants. The largest group in the average cost of consumption items per single purchase was the range of less than KRW 0.2 million, which makes up more than 22% of the total. Second, subjects were grouped into two in terms of their self-concept. The first group was made up of those who showed high levels of social and superior self-concept, while the second group showed high levels of social and inferior self-concept. The first group predominantly featured subjects that were male, married, had white-collar jobs, and belong to the high-income group with more than KRW 5 million per month. The second group redominantly featured subjects that were female, married, full-time housewives, and belong to groups with income ranging between an average of KRW 3 and 5 million per mon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both types of post-consumption emotional formation. Group 1 showed higher levels of positive emotion than Group 2 after both types of self-reward consumption, and Group 2 showed higher levels of negative emotion after rational self-reward consumption. Thus, it has been verifi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post-consumption emotional formation between groups, depending on the subdivision of their self-concept. Third, self-reward consump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into self-oriented, other-oriented, and value-oriented patterns through factor analysis. The top three affective factors in each self-reward consumption pattern, according to a comparison of β coefficien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Self-oriented reward consumption patterns were shown to be influenced by social, superior, and inferior self-concept; other-oriented patterns, by superior self-concept, age, and childhood consumption experience; and value-oriented patterns, by childhood consumption experience, gender, and superior self-concept. Fourth,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self-reward consumption satisfaction showed that, across all groups, higher degrees of self-orientation resulted in higher satisfaction in both the rational and emotional types. Higher satisfaction in the emotional type was linked with low age and high average monthly income, while satisfaction in the rational type was linked with frequent rewards and lower value-oriented consumption patter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성희(Han, Sung hee). (2015).자기보상 소비성향과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8 (4), 69-99

MLA

한성희(Han, Sung hee). "자기보상 소비성향과 소비만족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8.4(2015): 69-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