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방용 감지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대피시간 효율성 분석

이용수 92

영문명
Analysis of Efficiency of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Installation Location for the Detector of Fire Protecting System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류호철(Ho Cheol Ryu) 김두현(Doo Hy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6호, 263~27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열감지기의 설치위치와 보 설치 유무에 따른 감지기 동작 특성을 분석하여 안전대피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실험실에서 일반화재와 유류화재로 분류하고, 개방 및 밀폐상태, 보의 유무의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감지기 동작 시간을 도출하였다. 일반화재에서 개방 및 밀폐상태에서는 7초의 차를 보였고, 보의 유무에 따라 최대 150초의 동작지연시간을 보였다. 유류화재의 경우는 개방 및 밀폐상태에서는 비슷하였으며, 보의 유무는 최대 20초를 보였다. 일반화재의 경우는 화염의 확산속도가 느린 반면 유류화재는 확산속도가 빠르게 나타나서 이런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벽면에 근접한 5번 감지기가 가장 늦게 동작하였고 이는 벽면과 보가 감지기 작동시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안전대피시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벽면과 보에 대한 이격거리와 설계방향에 대한 국가화재안전기준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By analyz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heat detector and the existence of crossbe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y affect to the safe evacuation time. For this, the operation time of the detector was measured in case of general fire and oil based fire, respectively, applying 3 parameters of the open and closed conditions and the existence of crossbeam. In the general fire, the results showed 7 seconds difference between open and closed conditions, and 150 seconds of operation delay in maximum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crossbeam. In the oil based fire, the results were similar in two cases of the open and closed conditions, but there were 20 seconds difference in maximum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crossbeam. In case of general fire, the spreading speed of fire was slow, but the spreading speed was fast in the oil based fire, which resulted in these differences. In addition, the number 5 detector which was close to the wall operated most slowly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existence of wall and crossbeam affected the operation time of the detector. Thus, to secure the safe evacuation time effectively, it is highly required to review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NFSC) on the clearance distance and design direction of the wall and the crossbeam.

목차

Ⅰ. 서론
Ⅱ. 감지기에 대한 설치기준 및 안전대피시간
Ⅲ. 실험장치 및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호철(Ho Cheol Ryu),김두현(Doo Hyun Kim). (2015).소방용 감지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대피시간 효율성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11 (6), 263-273

MLA

류호철(Ho Cheol Ryu),김두현(Doo Hyun Kim). "소방용 감지기의 설치 위치에 따른 대피시간 효율성 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11.6(2015): 263-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