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ancer of the Hypopharynx

이용수 2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두경부종양학회
저자명
설대위(David John Seel) 정성민(Sung Min Chung) 박윤규(Yoon Kyu Park)
간행물 정보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3권 제1호, 65~70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87.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하인두암은 거의 대부분 이상동(Pyriform Sinus)에서 발생하며 상당한 정도 진행시까지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저자들은 1966년부터 1985년까지 만 20년간 하인두에서 발생된 암환자 63명을 중심으로 임상 관찰 및 문헌고찰과 함께 발표하는 바이다. 원발병소로는 전체 중 58 명에서 이상동, 하인두벽 (hypopharyngeal wall) 3명, Post cricoid hypo pharynx 와 pharyngopalatine fold에서 각각 1명씩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저자들은 설저 (base of tongue)암, supraglottic Ca. 및 경부 식도.(rervical esophagus) 암경우는 모두 제외시켰다. 임상증상으로서는 정부 종괴(lump) 가 33예로써 가장 현저했으며 또한 첫증상으로써 연하곤란(dysphagia) 또는 sore throat릅 나타낸 경우는 32예 이었다. 그 외에 hoarseness 가 20예, bloody sputum 4례 및 호흡곤란 2예의 순이었다. 내원까지의 증상기간은 대부분 4∼6개월 이었다 흡연관계는 1일 1값이상의 중등도 흡연 경우는 전체의 58%이었으며 흡연 사실이 있었던 경우는 전체의 88%이었다 연령별 발생빈도는 50대∼60대에서 48명으로서 현저히 높았다 완치 목적의 수술적 치료는 24병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거절은 16명이었다. 치료 거절하였던 환자들 중 81%가 임상적 제4병기였으며 보조적 치료 요법을 실시한 환자들의 78%에서 제4병기였다 또한 완치 목적의 치료 실시 경우의 67% 에서 제4병기였다. 수술요법은 일반적으로 "후두ㆍ인두 적출술 및 양측 경정맥 입파군 곽청술" (laryngopharyngectomy with bilateral jugular dissection) 또는 후두ㆍ인두 적출술 및 동측의 표준 광범위 경부 곽청술(standard radical neck dissection)과 반대측의 경정맥임파군 곽청술을 시행하였다. 3년 이내와 3년 이상무병 상태 (free of disease) 경우가 각각 4명씩이었다. 마지막 예후 추적 조사시까지 무병 상태였던 환자를 포함하여 예후 추적 조사기간 중 추적 실패 경우는 7명이었다 확정된 3년 생존율(determinate 3-year survival rate)은 31% 이었다 수술 사망이 1명 있었으며 재발경우는 9명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원발병소 재발이 7명, 경부 재발 1명 및 원격전이가 1명이었으며, 저자들은 이에 대한 실패 원인을 규명코져 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국문초록
Discussion
Conclu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대위(David John Seel),정성민(Sung Min Chung),박윤규(Yoon Kyu Park). (1987).Cancer of the Hypopharynx.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3 (1), 65-70

MLA

설대위(David John Seel),정성민(Sung Min Chung),박윤규(Yoon Kyu Park). "Cancer of the Hypopharynx."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3.1(1987): 65-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