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류와 식품정책 요구의 차이분석

이용수 136

영문명
Classification of consumer type according to the tendency toward safety and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demands for food policies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Hyun Jung Yoo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1권 제1호, 179~19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1.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식품안전 정책이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기 위해서는 다양한 소비자 유형을 이 해하고 각각의 소비자집단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책요구가 무엇인지를 분석해 그에 걸맞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4 식품 소비 행태 조사자료 성인편 데이터를 이용 하여, 소비자들의 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집단별 식품구매 환경평가, 식품안전 교육․홍보 경험 및 적정 교육시기, 식품 관리 주체의 중요도 및 주요 식품안전 정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우리나라 식품 소비자들은 위험지각(m=3.38)에 비해 안전행동(m=3.14)의 평균이 낮게 나타났으며, 위 험지각과 안전행동의 수준에 따라 무관심집단(24.1%), 대비집단(26.0%), 자포자기집단(21.3%), 위험반응집단 (28.6%)의 네 집단으로 소비자 유형이 구분되었다. 둘째, 수입산과 국내산 식품 안전도 평균 비교해 본 결과, 모 든 집단에서 수입산 식품의 안전도가 국내산 식품의 안전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의 식품안전 제도 인지도가 안전행동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품제도 인식이 높을수록 안전한 식품환경을 위한 소비자의 비용 지불 의사가 높게 나타나, 식품 제도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식품 환경에 대한 개선 의지가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섯째, 소비자 유형과 상관없이 식품안전보장, 식품관련 교육과 홍보, 부당사업자 처벌단속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초등학교나 중학교 시 기부터 소비자안전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영문 초록

For the food safety policies to be effective and to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leve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various consumer types, analyze their demands for policies, and find methods to meet those demands. This study classifies consumer groups us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 of adults' food consumption types conducted in 2014, evaluates the food purchase environment of each group, and analyzes the experience of food safety education and promotion, proper timing of education, importance of food control authority, and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food safety polic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afe behavior((m=3.14) of Korean food consumers was lower than their mean risk perception(m=3.38), and Korean food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f indifferent group(24.1%), contrasting group(26.0%), self-abandoned group(21.3%), and group responding to risk(28.6%)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risk and the level of safety behavior. Second, safety levels of imported food and domestic food were compared and the safety level of imported food was lower than that of domestic food in all groups. Third, the group with higher level of safe behavior was more aware of food safety systems that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safe behavior. Fourth, the higher the awareness of food safety system,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y more for safer food environment,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knowledge of food systems, the stronger the will to improve food environment. Fifth, regardless of consumer type, all consumers strongly demanded guarantee of food safety, education and promotion related to food, and penalty for those engaged in illegal business activities and all consumers had the opinion that consumer safety education and promotion needs provided to children in their elementary or middle school yea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un Jung Yoo. (2015).안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류와 식품정책 요구의 차이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11 (1), 179-199

MLA

Hyun Jung Yoo. "안전성향에 따른 소비자 유형 분류와 식품정책 요구의 차이분석." 한국위기관리논집, 11.1(2015): 179-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