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 평가 도구개발

이용수 859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 for observers
발행기관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저자명
성은현(Sung Eun Hyun) 성소연(Sung So Yeon)
간행물 정보
『창의력교육연구』제14권 제1호, 95~11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업을 참관하면서 수업 관련 요소와 창의성 교육 요소를 준거로 수업담당 교사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과 창의성 교육 요소들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수업요소는 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 교수학습방법, 인적ㆍ물적 자원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교육 요소는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 요소로 나타났다. 수업을 참관한 초중등학교 교사와 교장 교감 445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평가하는 수업요소 20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20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 동일성 검사를 통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간에 동질적인 구조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Soh(2000)의 "창의성을 조장하는 교사행동평가척도(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를 통해 수렴타당도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창의ㆍ인성 연구학교와 일반학교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연구학교가 일반학교보다 평균값이 높았으나 인적ㆍ물적 자원 활용과 수렴적 사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와 한계가 소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the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reviewed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also carried out a survey asking teachers of what are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four hundred forty five teachers, vice principals and principals, and we developed twenty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wenty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by analy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Soh's Creativity Fostering Teacher Index: CFTI. We found no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teacher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between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and general school except the components of personal/physical resources and convergent thinking. We discuss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은현(Sung Eun Hyun),성소연(Sung So Yeon). (2014).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 평가 도구개발. 창의력교육연구, 14 (1), 95-117

MLA

성은현(Sung Eun Hyun),성소연(Sung So Yeon).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 평가 도구개발." 창의력교육연구, 14.1(2014): 95-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