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첩과 아내

이용수 192

영문명
The Wife and the Concubine in Late Chosun Dynasty-Hiding the Conflict and Strategic Compromise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황수연(Hwang Su yeo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2권, 349~380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사회는 처첩제를 동반한 일부일처제 사회였기에 거의 모든 신분에 걸쳐 첩이 존재하였다. 신분마다 축첩의 이유는 조금씩 달랐지만 남성의 생물학적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이유가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본고는 17, 18세기의 사대부 남성의 글 중에서 첩을 둘러싼 담론을 통해 남성들의 첩에 대한 인식, 첩이 놓였던 자리, 사족 여성들의 첩에 대한 태도, 처첩의 관계 등을 살펴봄으로써 조선후기 가족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사대부 남성은 가계의 계승과 번영을 위해 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정당화하려고 하였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남성들은 정치혼인의 문제와 불만을 애정 혼인을 통해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첩은 정처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위치에 놓여 있었다. 첩은 노동력을 제공해야한다는 점에서 노비와 동급으로 취급되기도 하였고 정처인 사대부 여성의 인격과 대우에 따라 그의 처지가 결정되는 존재였다. 첩은 사대부 여성의 부덕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했지만 첩 자신이 주체적 인격체로 인정되고 그들의 삶의 이력이 기록되어 전하는 경우는 매우 적었다. 사대부 남성은 처와 첩이 조화롭고 원만한 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하거나 시기하거나 투기하지 않는 여성을 칭송함으로써 처와 첩이 갖고 있는 근원적인 갈등을 은폐하고자 하였다. 처첩의 관계에 대한 서술은 처와 첩의 직접적인 관계보다는 첩의 자식에 대한 처의 배려가 구체적으로 서술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아내로서의 성적 섹슈얼리티는 거세되었지만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를 바라는 남성의 이기적 태도가 반영된 것이다. 사대부 여성들은 자신의 생물학적 욕구를 가부장적 요구로 포장하여 정당화한 남성들의 우위에 서서 그들을 도덕적으로 규제하며 첩의 존재를 수용하였다. 사대부 여성들은 타협과 화해를 통해 처첩제의 틈을 비집고 자신의 위치를 확보하고자 나름대로의 전략을 구축했다.

영문 초록

The concubine existed at every status in Chosun dynasy, because Chosun was monogamy society with one's wife and concubine system. There was little different reason having concubine in each status, but there was male's biological desire. This paper revealed the elite man's recognition to the concubine, the concubine's location in the family, the elite woman's understanding to the concubin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fe and the concubine through the discourses about the concubine. The objects are the writing which the elite man wrote in the 17th century and 18th century. Finally, I studied the aspect of the family in Chosun dynasty. The elite man insisted that they need the concubine to make a success the family line. And they tried to justify their having the concubine on that reason. But real life was different with that reason. They wanted to make compensation their dissatisfaction through loving marriage instead of political marriage. The concubine's location very differed with the lawful wife. The concubine was recognized same as the servant because they had to offer their labor. The concubine's status was settled by the lawful wife or other family member's personality. Sometimes they were used as a meaning to reveal the lawful wife's goodness. However, only few concubine were admitted as a independent being and be written their life by their family member. The elite man concealed the conflict between the wife and the concubine by saying they had a good relationship and praising the woman who did not envy. They wrot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lawful wife and the concubine's children more detail.제거 than the relationship with the lawful wife and the concubine. The man wanted their wife to do maternal role even though their sexuality was get rid of by their husband. The elite woman was superior standing than their husband who hided their sexual desire under the patriarchal demand. They did moral control over the man. The elite woman made the strategy to keep their status in the family by making harmony and compromise.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남성의 첩에 대한 인식: 축첩의 정당화
3. 첩이 놓인 자리
4. 처/첩의 관계: 은폐된 갈등과 전략적 화해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수연(Hwang Su yeon). (2006).조선후기 첩과 아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2 , 349-380

MLA

황수연(Hwang Su yeon). "조선후기 첩과 아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2.(2006): 349-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