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성화고등학교의 공공공간 계획방향 연구

이용수 52

영문명
A Direction of Planning Public Space in Specialized High School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전희성(Hee Sung Jeon) 이금진(Kum Ji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10권 제7호, 161~182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교류와 참여, 협력 등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고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속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전문적인 지식습득과 실습을 위한 공간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교육적으로 커뮤니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협소한 교사공간과 프로그램의 한계로 인해 공간활용과 시설운영 측면에서는 적극적이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교육과정과 시대흐름의 변화에 부합되는 학교시설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취업뿐 아니라 관련 전공과 연계성을 갖거나 또는 다른 관심분야로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보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즐겁고 보람있는 학교생활을 이어가는 학생들도 많아지는 추세를 반영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관심사와 특별활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공공간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외톨이와 폭력 등 사회적 문제에 노출되어 있거나 전공과 진로에 대한 회의 또는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운 학생들을 포용하기 위해 학생커뮤니티를 조성하고 공공공간을 활용하는 등의 계획방향을 제시한다.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공공공간의 현황을 시설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계획방향을 도출하여 학습과 취업위주의 학교시설 계획방식에서 나아가 학교교육의 질적 개선뿐 아니라 커뮤니티와 문화적 요소를 담는 학교시설 공공공간 계획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e opportunity, provided for design method and strategies of public space for the revitalization of community in specialized high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 of three cases on high school specialized animation, design and interne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Public spac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architecture as it seeks to revive the public area in educational building as a multi-cultural entertainment space for interchange, discussion, collaboration and relaxation during students' school lives. The latest works of school, however, which are evaluated as well as reflected the reality of educational patterns, are still deficient in that public elements in school are underdeveloped and inadequate. This paper reviews an assessment of the success in public space for the architecture of specialized high school with the space for community connected open space and concludes with the establishment of design method for the future building for specialized high school; extraction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public space in educational building and proposal of design direction to make a use the existing classrooms for english, music and painting and public area such as lobby, corridor, bridge and terrace; implementation of school renewal with gallery, auditorium and mediatheque including public open space with nature for the creation of identity considering both of study and communit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학교시설에서의 공공공간
Ⅲ. 특성화고등학교의 공공공간 현황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희성(Hee Sung Jeon),이금진(Kum Jin Lee). (2014).특성화고등학교의 공공공간 계획방향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 (7), 161-182

MLA

전희성(Hee Sung Jeon),이금진(Kum Jin Lee). "특성화고등학교의 공공공간 계획방향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7(2014): 161-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