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와 국가위기관리

이용수 1279

영문명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Change and National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Typology of National Crisis under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이재은(Jae Eu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 제2호, 177~198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포괄적 안보 개념의 의미와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국가 위기 유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는 먼저, 포괄적 안보(comprehensive security), 인간안보(human security), 협력안보(cooperative security) 또는 공동안보(common security), 초국가적 위협(transnational threats) 개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 전쟁양상의 변화로 인한 전통적 군사안보(traditional military security) 환경의 변화, 경제안보(economic security) 위협 요소 출현, 환경안보(environmental security)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 증대, 인간안보(human security)의 부각 등이 그것이다. 여기서는 포괄적 안보 관점에서 국가안보를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모든 군사적 위기와 비군사적 위기로부터 국민, 영토, 주권, 핵심기반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의 국가안보는 더 이상 전통적인 군사 안보(conventional military security)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 안보(economic security)와 환경 안보(environmental security), 그리고 인간 안보(human security)를 포함하는 포괄적 안보로 전환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가위기는 크게 국민안보를 위협하는 국민생활위기와 재난위기(자연재난, 인적재난), 영토 안보와 주권 안보를 위협하는 전통적인 군사 위기, 셋째, 핵심기반 안보를 위협하는 위기가 그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newly emerging concepts and contents of comprehensive security and suggest the kinds of national crisis according to the change of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s. For achieving the goal, this paper reviewed some concepts of comprehensive security, human security, cooperative security or common security, and transnational threats. And the researcher has tried to find the changes of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s, for example, traditional military security environment change, emergence of economic security threat, importance of environmental security, significance of human security, etc. So, in this paper, national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rehensive security can be defined as a state that protect a people, territory, sovereignty, and critical infrastructure from military and non-military crisis which threate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nation. In this context, national crisis can be classified as people living crisis, disaster crisis(natural and man-made disaster), traditional military crisis which threaten territory and sovereignty crisis, critical infrastructure crisis, etc.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국가안보와 새로운 개념들
Ⅲ.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
Ⅳ. 국가안보와 포괄적 안보 개념
Ⅴ. 포괄적 안보 관점에서의 국가위기 분류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은(Jae Eun Lee). (2013).국가안보 환경의 변화와 국가위기관리. 한국위기관리논집, 9 (2), 177-198

MLA

이재은(Jae Eun Lee). "국가안보 환경의 변화와 국가위기관리." 한국위기관리논집, 9.2(2013): 177-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