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ormation and Contents of 『Mokgwaillam』
- 발행기관
- 한국의사학회
- 저자명
- 송지청(Ji-Chung Song) 심현아(Hyun-A Sim) 금경수(Kyung-Su Keum) 엄동명(Dong-Myung Eom)
- 간행물 정보
- 『한국의사학회지』제26권 제2호, 31~6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field of specialty in medicine origins from general or comprehensive theories of medicine. 『Mokgwaillam』 is a book of ophthalmology. However, its contents are from 『Dongeuibogam』 「Ahn」. We need to compare 『Mokgwaillam』 with 『Dongeuibogam』 「Ahn」 and find out how they are different or similar.
Method : Contents comparison between 『Mokgwaillam』 and 『Dongeuibogam』 「Ahn」 was conducted in contents movement, deletion, transformation and so on.
Result : The most content of 『Mokgwaillam』 derived from 『Dongeuibogam』 「Ahn」 even though 『Mokgwaillam』 adjusted several parts of 『Dongeuibogam』 「Ahn」 as a book of ophthalmology.
Conclusion : Because 『Mokgwaillam』 contents are not outright and remarkable in ophthalmology field, 『Mokgwaillam』 has its limit. On the contrast, we suggest that 『Mokgwaillam』 could represents speciating ophthalmology fiel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 reason is that 『Mokgwaillam』 tried to remake 『Dongeuibogam』 「Ahn」 contents as a ophthalmologic book in some aspects ; contents movement, deletion, transformation and so on.
목차
Abstract
Ⅰ. 序論
Ⅱ. 本論
Ⅲ. 考察
Ⅳ.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東醫寶鑑』 處方의 약재 용량 분석을 통한 四象方 적응증 확장 연구 Ⅱ
- 不整脈에 대한 東醫寶鑑의 판단기준 硏究
- 朝鮮時代 純宗의 疾病에 관한 고찰
- 족보를 통한 조선 중기(1506~1637) 三醫司 의관 가계배경 연구
- 전통 약물의 국제 교류에 관한 小考
- 의인(醫人) 백광현(白光玹)의 행적 연구
- 전통 연침법(鍊鍼法)의 재현 및 침(鍼) 표면 변화의 분석
- 한의사ㆍ한약사 임무 및 공공제도 중심의 의약법규 제ㆍ개정 고찰
- 『目科一覽』의 編制와 內容에 대한 考察
- 19-20세기 조선 의가들의 ‘『본초강목』 재구성하기’
- 근대부터 건국 초기까지의 의약체계 법령 고찰
- 『新纂辟瘟方』의 編制와 內容에 대한 考察
- 일제강점기 한의학술잡지에 실린 한약업자 광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