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성 근로자의 복부지방두께와 adiponectin, BDNF 및 leptin의 관련성

이용수 75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BDNF and Leptin with Abdominal Fat Thickness in Male Workers
발행기관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저자명
고경선(Kyung-Sun Ko) 최윤정(Yoon-Jung Choi)
간행물 정보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6권 제3호, 209~217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방조직에서 분비되어 비만의 진행 조절에 관여하는 adiponectin과 leptin의 복부지방두께와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성 근로자 138명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피하 및 내장지방두께를 측정하고 ELISA kit을 이용하여 adiponectin, BDNF 및 lept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평균 피하지방과 내장지방두께는 1.58±0.51과 4.52±1.44㎝이었다. Adiponectin, BDNF 및 leptine의 평균농도는 각각 3.14±3.52 ng/㎖, 24.11±8.52 pg/㎖와 4.27±2.38 ng/㎖이었다. 내장지방두께는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슐린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HDL-콜레스테롤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Adiponectin 농도는 HDL-콜레스테롤의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피하 및 내장지방두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leptin의 농도는 adiponectin과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Adiponectin의 농도는 비만하지 않은 대상자(BMI<25 ㎏/㎡)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leptin의 농도는 비만한 대상자((BMI>25 ㎏/㎡)에서 높았다. 비만과 adiponectin, BDNF 및 leptin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연령, 흡연 및 음주습관 등을 보정한 다음,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만은 adiponectin(교차비=0.784, p=0.006)과 leptin(교차비=1.493, p=0.001)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adiponectin과 leptin의 농도가 복부지방에 영향을 주고, 이들 신경영양 물질들의 생성과 분비 기능저하는 궁극적으로 비만과 심혈관계 질환의 유발에 관여함을 보여준 결과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Adiponectin (AdipoN), brain-derived nerotrophic factor (BDNF) and leptin (LeP) are mainly secreted from adipose tissue and are known to be involved in regulation of the development of obese.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abdominal fat and neuropeptides such as AdipoN, BDNF and LeP. The aim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bdominal fat thickness, neuropeptid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risk factor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38 male employees without CVD.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Written informed consent fo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all individuals. We obtained subcutaneous fat thickness (SFT) and visceral fat thickness (VFT) by using ultrasonography and neuropeptides levels were measured with ELISA kit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by kit manufacturer. The mean SFT and VFT were 1.58±0.51 and 4.52±1.44 cm. The mean concentrations of AdipoN, BDNF and LeP were 3.14±3.52 ng/ml, 24.11+8.52 pg/ml and 4.27±2.38 ng/ml, respectively. VF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r=0.217, p<0.05), LDL-cholesterol (r=0.271, p<0.01), triglyceride (r=0.233, p<0.05) and insulin (r=0.338, p<0.01), but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420, p<0.01). AdipoN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r=0.220, p<0.05) and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r=-0.196, p<0.05), LDL-cholesterol (r=-0.190, p<0.05), triglyceride (r=-0.199, p<0.05), SFT (r=-0.195, p<0.05) and VFT (r=-0.412, p<0.01). However, LeP levels showed a reverse trend to AdipoN. Adip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obese participants (BMI<25 kg/m), but LeP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participants (BMI>25kg/m) than in non-obese.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bes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dipoN (odds ratio=0.784) and LeP (odds ratio=1.49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ipoN and LeP concentrations are affected abdominal fat and that dysfunction and/or declination in th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neuropeptides might induced ultimately obese and CV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경선(Kyung-Sun Ko),최윤정(Yoon-Jung Choi). (2013).남성 근로자의 복부지방두께와 adiponectin, BDNF 및 leptin의 관련성. 방사선기술과학, 36 (3), 209-217

MLA

고경선(Kyung-Sun Ko),최윤정(Yoon-Jung Choi). "남성 근로자의 복부지방두께와 adiponectin, BDNF 및 leptin의 관련성." 방사선기술과학, 36.3(2013): 209-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