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이용수 2886

영문명
Exploring the construct and developing th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발행기관
한국교육평가학회
저자명
지은림(Chi, Eunlim) 주언희(Ju, Unhee)
간행물 정보
『교육평가연구』제25권 제1호, 69~9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의적 인재 역량의 구인을 탐색하고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중․고등학생 53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창의적 인재 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는 인지적(고차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정의적(호기심, 개방성, 감수성, 과제집착력), 사회적(사회가치추구, 협동 및 배려) 특성의 3개 영역(9개 요인)으로 구성하고 리커트식 5점 척도의 형태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Rasch 모형에 의한 문항 적합도 분석과 문항들의 측정치 비교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함께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적 인재 역량은 위와 같은 3개 영역(9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타당화시켜 주었다. 둘째, 학생들은 영역들 중에서 인지적 영역의 특성이 가장 부족한 편인 반면에, 사회적 영역의 특성이 가장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영역에서도 학생들은 확산적 사고력과 고차적 사고력의 특성이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Cronbach-α에 의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질문지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들은 창의적 인재 역량의 구인을 명료화하고 요인별 수준 차이를 비교해줌으로써,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struc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develop the scale for the trait.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including three domains(cognitive, affective, social) was administered to 532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data, item fit analysis and person-anditem map were made with WINSTEPS which was based upon Rasch model. Als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don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first of all, show that creative leader competency consists of three domains of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haracteristics. Here, cognitive domain includes ‘higher mental thinking’, ‘divergent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while affective domain covers ‘curiosity’, ‘openness’, ‘sensitivity’, and ‘task commitment’. Social domain, which is newly added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creativity consisting of only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includes ‘the pursuit of social value’ and ‘cooperations and considerations’. Second, the examination of item measures demonstrates that cognitive domain is most hard to endorsed for students. Especially, divergent thinking and higher mental thinking were hard to endorded in the cognitive domain. Third, Cronbach-α proves that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reliable. In conseq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reconceptualize creative leader competency and apply the scale to measure students in schoo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은림(Chi, Eunlim),주언희(Ju, Unhee). (2012).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교육평가연구, 25 (1), 69-94

MLA

지은림(Chi, Eunlim),주언희(Ju, Unhee).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교육평가연구, 25.1(2012): 69-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