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공교육 강화 정책방안 연구

이용수 514

영문명
Reconsidering the Educational Policy for Effective Public Education System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f School Engagement on Educational Outcomes
발행기관
한국공공정책학회
저자명
김소영(Kim So young)
간행물 정보
『공공정책연구』공공정책연구 제17권 1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학교참여 개념을 우리 사회에 적용하여, 사교육 문제와 공교육 강화 정책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는 사교육의 경제적 영향력으로 인하여 교육문제가 정치적, 사회적 쟁점이 되면서 공교육이 자생력을 잃고 오히려 사교육을 대체하게 된 현상을 정책적으로 논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시절 학교참여 수준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와 긍정적 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사교육 투자시간과 교육방송 시청시간 모두 학습성과에 대해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수업시간에 보여주는 학생들의 학습역량과 성실한 학교생활이 대학수학능력시험점수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시절 학교참여는 대학에서의 학교참여 수준과도 긍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에서 학교참여 수준이 높았던 학생들은 자율성과 자기주도성이 강조되는 대학에서도 높은 수준의 참여를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공교육 강화 정책은 교육이 본래 이루어져야 하는 장소로서의 학교와 수업 시간에 더욱 관심과 자원을 투입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concept of school engagement,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western society. The application of school engagement can be meaningful in our society, due to the strong economic impact of shadow education and the weakness of public education system. The results of analyzing KEEP data showed the level of school engagement in high school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ational academic aptitude test scores, while the time input in shadow education and watching the programs of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did not.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suggested the high level involvement with classroom presented strong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 level of school engagement in high school also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chool engagement in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policy makers should focus more on the authentic educational place and time, which are school and class, and decide to invest more resources to facilitate school engagement in order to enhance public education system.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영(Kim So young). (2010).학교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공교육 강화 정책방안 연구. 공공정책연구, 17 (1), 1-25

MLA

김소영(Kim So young). "학교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한 공교육 강화 정책방안 연구." 공공정책연구, 17.1(2010):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