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화사용 청각장애인의 작업기억특성

이용수 328

영문명
Working Memory of Deaf Signe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종민(Chong Min Lee) 김영욱(Young Wook K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3호, 209~22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수화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수화사용 청각장애인, 구화사용 청각장애인, 건청인을 대상으로 음운유사과제, 조음억제과제, 숫자폭과제의 즉시계열회상검사를 통해 작업기억에서 수화 단서를 부호로 회상하는 특징들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화에 능숙한 수화사용 청각장애인, 구화사용 청각장애인, 건청인 집단으로 나누어 수화단어 자극을 사용하여 음운유사성효과와 조음억제효과를 측정하고,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숫자폭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화사용 청각장애인, 구화사용 청각장애인, 건청인 집단 모두 음운이 유사하지 않은 수화항목과 비교하여 음운이 유사한 수화항목에서 회상수행이 저하되었다. 조음억제효과에서는 구화사용 청각장애인, 건청인 집단 모두 손으로 조음을 통제한 결과 조음을 억제하지 않았을 때보다 조음을 억제하였을 때 수화항목의 회상수행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농인 집단의 경우 조음을 억제하지 않았을 때보다 조음을 억제하였을 때 오히려 수화항목의 회상수행이 저하되었다. 숫자폭과제에서는 상대적으로 건청인, 구화사용 청각장애인 집단은 작업기억용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화사용 청각장애인은 상대적으로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에 참여한 수화사용 청각장애인들은 수화를 시각적-언어적(visual-linguistic)처리과정으로 부호화하지만, 건청인과 구화사용 청각장애인은 수화를 시각적-그림(visual- pictorial)처리과정의 일반적인 형식으로 부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작업기억에서 수화를 기억하는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the results are of the memory method of sign language in phonologically similar tasks of articulatory suppression task and digit span task among the three groups of the deaf, the deaf oral, and hearing(sign language interpreters) through immediate serial recall test. To investigate how those in each group use sign language based on code, I divided them into deaf, deaf oral, hearing adults and measured phonological similarity effects, articulatory suppression effects, digit span effects using lists of Korean sign language stimuli.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for the phonological similarity effec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af adults, the oral deaf adults, and the hearing interpreters. All three groups were worse in recalling the phonologically similar lists than the dissimilar lists. As for the articulatory suppression effect,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oral deaf group and the normally hearing group did better in recalling the lists in the suppressed condition than in the unsuppressed condition. However, the deaf group did worse in recalling in the suppressed condition than in the un suppressed condition. The span of working memory was measured first in the forward recall condition and then in the backward recall conditio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digit recall. We can conclude that the dea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ffer from both the oral deaf and the hearing subjects in the way they remember signs.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 deaf signers would form a visual-linguistic code for the signs while the hearing and the oral deaf subjects would undergo visual-pictorial processe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민(Chong Min Lee),김영욱(Young Wook Kim). (2003).수화사용 청각장애인의 작업기억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8 (3), 209-227

MLA

이종민(Chong Min Lee),김영욱(Young Wook Kim). "수화사용 청각장애인의 작업기억특성."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8.3(2003): 209-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