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이용수 6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Yong Chan Ahn(안용찬) , Jae Sung Kim(김재성) , Hyong Geun Yun(윤형근) , Sung Whan Ha(하성환) Charn Il Park(박찬일)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9권 제1호, 93~102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1.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직장암의 치료에 있어서 골반부위에 대한 수술후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하여 1979년 2월부터 1986년 6월 사이에 치료를 받은 modified Astler-Coller 병기 B2+3, C1, 및 C2+3의 직정암 환자 189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조사를 시행하였다. B2+3 병기의 환자는 47명이었으며, C1 병기는 17명, 그리고 C2+3 병기는 125명이었다. 근치적 수술로 41명이 전방절제술을, 143명이 복부회음절제술을, 그리고 5명은 골반장기적출술을 시행받았다. 전체환자군의 5년 생존율 및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45.3% 및 44.1%였다. 각 병기별 5년 생존율은 B2+3에서 63.4%, C1에서 62.4%, C2+3에서 37.2%로서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5), 5년 무병생존율은 B2+3에서 55.7%, C1에서 65.7%, C2+3에서 36.4%로서 이것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p<0.01) 병기가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있어 중요한 예후인자임을 알 수 있다. 재발시 가장 많이 침범되는 장기는 간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폐 및 회음부였다. 전방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군에서 복부회음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군보다 좋은 무병생존율을 보였고 방사선에 의한 장합병증의 위험이 더 높았다. 수술후 방사선치료로 국소재발억제에는 좋은 효과가 있었으나 진행된 병기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원격전이의 발생은 예방하지 못하였다.

영문 초록

To evaluate 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on 189 patients with modified Astler-Coller stages B2+3, C1, and C2+3 who were treated from February 1979 to June 1986. Forty-seven patients were staged as B2+3, 17 as C1, and 125 as C2+3. As a curative resection, 41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143 received abdomino-perineal resection, and five received pelvic exenteration. The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rates of the total patients at five year were 45.3% and 44.1%, respectively. The stage w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 the survival rates at five year were 63.4% in stage B2+3, 62.4% in C1, and 37.2% in C2+3 (p<0.005);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s at five year were 55.7% in B2+3, 65.7% in C1, and 36.4% in C2+3, respectively (p<0.01). The liver was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organ of recurrence followed by the lung and the perineum. The patients who received low anterior resection achieved better disease-free survival but were more prone to late radiation bowel morbidities than those who received abdomino-perineal resection. Post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proved to be effective in locoregional disease control but did not prevent the appearance of distant metastasis, which was of major concern in advanced stage. Patterns of treatment failure, and factros relating to radiation morbidity are discussed, and therapeutic options for better results are propo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Yong Chan Ahn(안용찬) , Jae Sung Kim(김재성) , Hyong Geun Yun(윤형근) , Sung Whan Ha(하성환),Charn Il Park(박찬일). (1991).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9 (1), 93-102

MLA

Yong Chan Ahn(안용찬) , Jae Sung Kim(김재성) , Hyong Geun Yun(윤형근) , Sung Whan Ha(하성환),Charn Il Park(박찬일). "The Role of Postoperative Pelvic Radiation Therapy in Rectal Cancer."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9.1(1991): 93-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