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궁경부 선암 환자에 대한 생존율과 실패양상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Result of Radication Therapy for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이호준(Ho jun Lee) 김진희(jin Hee Kim) 김옥배(Ok Bae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17권 제1호, 16~22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자궁경부암 환자들 중 병리조직학적으로 선암으로 확인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생존율과 실패양상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하였다.
대 상 및 방법: 1988년 6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중 선암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는 FIGO분류상 Ib가 12례, lla가 9례, llb가 19례, lllb가 5례 이었으며, 환자들의 연령은 중앙값이 54세이었다. 체외 방사선치료는 주로 골반부위만을 치료하였으며, 복부 대동맥 림프절(Paraaortic node:PAN)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치료를 6례에서 시행하였는데, 1례를 제외하고 나머지 5례의 환자가 모두 골반 컴퓨터 단층촬영 사진에서 골반 림프절 전이가 있었기 때문에 예방적 치료를 하였다. 체외 방사선치료후 모든 환자가 강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방사선치료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가 16례이었다. 중앙 및 최대추적기간은 각각 64개월, 116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55.2%였으며, 각 병기별로는 lb가 100%, lla가 50.8%, llb가 46.8%, lllb가 40%(3년)였다. 환자의 연령, 종양의 형태, 암세포 분화도, 항암화학요법의 사용 여부, 골반 림프절 전이 여부, 각 병기별 방사선량 등은 환자의 생존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병기와 종양의 크기가 생존율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실패양상은 각 병기별 국소 실패율이 lb가 0%, lla가 33.3%, llb가 57.9%, llb가 60%였으며, 원격전이율은 lb가 0%, lla가 33.3%, llb가 21.1%, lllb가 40%였다. 특히 복부 대동맥 림프절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 6명에서 원격전이는 없었으나, 복부 대동맥 림프절에 방사선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서는 복부 대동맥 림프절을 포함한 원격전이가 23.1%(9/39명)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다른 저자들의 연구와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주로 ll기 환자에서 복부 대동맥 림프절을 포함한 원격전이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므로 선암환자 전체에 대해, 특히 골반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복부 대동맥 림프절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치료에 대해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prognostic factors and patterns failure of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adenocarcinama of the uterine cervix
Materials and Methods:From June 1988 to December 1996,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 taken for 45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urative radiation therapy for adenocarcinoma of the to FIGO staging classification, 12 patients were stage lb, 9 patients were lla, 19 patients were llB, and 5 patients were lllb.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4 years. The radiation therapy consistes of a combination of external and intracavitary irradiation. Only the pelvis was treated for external irradiation of extended field irradiation including paraaortic nodes.
Intracaviary irradiation was performed with high does rate sources(C0-60). Neoadjuvant chemotherapywas undertaken for 16 patients.Median and maximum follow-up duration was 54 and 113 months, respectively.
Result: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55.2%, and the 5-year survival rates for stage lb, lla,,llb, and lllb were 100%,50.8%,46.8% and 49&(3-year survival rate),respectively. Of the many clinicopathologic variables evables evaluated for prognosis, only the stage and the tumor siz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Statistically, pelvic falilure rates for stage lb, lla, llb, and lllb, were 0%, 33.3%,57.9%. and 60%, respectively. Distant metastasis rates were 0%,33.3%,21.1%,and 40% for stage lb, lla, llb, and lllb, respectively. Especially the 6 patients who were irradiated with extended field to treat the paraaortic
nodes were free of distant metastasis all. But, 9 patients(23.1%) of the 39 patients who were not irradiated the paraaortic nodes were suffered and expired from uncontrolled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As compared with other studies, the survival rates were similar, but distant metastasis patients with stage Ⅱ.So, we think that the effect of prophylactic paraaoric nodes irradiation should be studied prospectively,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pelvic nodes involvenent or advanced stage of diseas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CK 선암세포주에서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미치는 암유전자의 발현
- 연부조직종양에서 고선량율 조직내 방사선치료
- 원격전이를 보인 천미골 척삭종 2례
- 가상쐐기와 기존쐐기의 물리적 특성
- 수술 후 국소재발된 직장암의 방사선 치료 결과
- 자궁경부 선암 환자에 대한 생존율과 실패양상 분석
- 자궁경부암 방사선치료시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Scc) 과 Carcinoembryonic Antigen(CEA) 의 종양표지자로서의 의의
- 종괴가 큰 병기 lB,llA-B자궁경부 암에서 방사선치료와 Extrafascial Hysterectomy 의 결과
- 흰쥐의 대장점막에 Paclitaxel(Taxol)과 방사선조사의 효과
- 디지털화재구성사진(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을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 및 치료의 치료위치 확인
- P53 Overexpression and Outcome of Radiation Therapy in Head & Neck Canc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인유두종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예방을 위한 남성 대상 백신의 임상적 유용성
- 방사선 치료에 내성이 유도된 두경부 편평세포암에 대한 종양살상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유전자 치료 효과
- 두경부암에서 면역회피 기전과 면역항암제 치료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Localized intracranial germinoma: is it time to re-define target volume for whole ventricular irradiation?
- Nationwide changes in radiation oncology travel and location of care before an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Research progress and treatment of radiation enteritis and gut microbiot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