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Screen-Film과 Digital Mammography에서의 평균 유선선량

이용수 51

영문명
Comparison of Average Glandular Dose in Screen-Film and Digital Mammography Using Breast Tissue-Equivalent Phantom
발행기관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저자명
신귀순(Gwi-Soon Shin) 김정민(Jung-Min Kim) 김유현(You-Hyun Kim) 최종학(Jong-Hak Choi) 김창균(Chang-Kyun Kim)
간행물 정보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0권 제1호, 13~2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3.0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방촬영장치가 screen-film system에서 최근에는 빠른 속도로 digital system으로 교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Digital system이 screen-film system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digital detector가 screen-film보다 X선 흡수효율이 더 높으며, digital system 중에서도 direct digital detector가 indirect digital detector보다 흡수효율이 높다. 이에 입각하면 촬영 시 적은 선량을 주어도 되기 때문에 환자피폭선량이 감소한다. 그러나 임상 방사선사들이 느끼는 바는 달랐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screen-film mammography system, computed mammography system, indirect digital mammography system, direct digital mammography system에서 glandularity가 30%, 50% 및 70%인 세 종류의 유방조직 등가팬텀을 이용하여 평균유선선량(AGD)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Screen-film보다 digital detector가 X선 흡수효율이 높지만, glandularity가 30%인 경우의 AGD는 오히려 SFM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 CM, IDM, DDM 순으로 증가되었다.
  자동노출장치로 설정하였지만 두께나 glandularity에 따라 target/filter의 조합이 바뀌지 않고 Mo/Mo으로 계속 사용된 SFM에서는 AGD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따라서 높은 glandularity를 가진 두꺼운 팬텀을 위한 고에너지 촬영에서는 SFM에서 AGD값이 가장 높았고, 저에너지 촬영에서는 DDM에서 AGD값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target/filter의 조합이 다양하게 바뀐 CM에서는 두께나 glandularity에 따른 AGD의 곡선이 가장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AGD값이 가장 낮았다.
  이와 같이 두께와 glandularity가 증가함에 따라 target/filter의 조합이 Mo/Mo에서 Mo/Rh으로 더 증가하면 Rh/Rh으로 바뀌는 것이 AGD의 증가량이 적어 환자의 피폭선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방촬영에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검출효율 외에도 여러 가지 촬영 변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mammography system is changed rapidly from conventional screen-film system to digital system for application to screening and diagnosis.
  Digital mammography system provides several advantages over screen-film mammography syste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digital mammography system offers radiation dose reduction in comparison with screen-film mammography system, because of digital detector, particularly direct digital detector has higher x-ray absorption efficiency than screen-film combination or imaging plate(IP).
  We measured average glandular doses(AGD) in screen-film mammography(SFM) system with slow screen-film combination, computed mammography(CM) system, indirect digital mammography(IDM) system and direct digital mammography(DDM) system using brest tissue-equivalent phantom(glandularity 30%, 50% and 70%).
  The results were shown as follows :
  AGD values for DDM system were highest than those for other systems. Although automatic exposure control(AEC) mode was selected, the curve of the AGD values against thickness or glandularity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SFM system with the uniform target/filter(Mo/Mo) combination. Therefore, the AGD values for the high energy examinations were highest in the SFM system, and those for the low energy examinations were highest in the DDM system. But the curve of the AGD values against thickness and glandularity increased gently for CM system with the automatic selection of the target/filter combination (from Mo/Mo to Mo/Rh or from Mo/Rh to Rh/Rh), and the AGD values were lowest.
  Consequently, the parameters in mammography for each exposure besides detection efficiency play an important role in oder to estimate a patient radiation dose.

목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Ⅱ. 실험장치 및 방법
Ⅲ. 실험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귀순(Gwi-Soon Shin),김정민(Jung-Min Kim),김유현(You-Hyun Kim),최종학(Jong-Hak Choi),김창균(Chang-Kyun Kim). (2007).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Screen-Film과 Digital Mammography에서의 평균 유선선량. 방사선기술과학, 30 (1), 13-23

MLA

신귀순(Gwi-Soon Shin),김정민(Jung-Min Kim),김유현(You-Hyun Kim),최종학(Jong-Hak Choi),김창균(Chang-Kyun Kim). "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Screen-Film과 Digital Mammography에서의 평균 유선선량." 방사선기술과학, 30.1(2007): 13-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