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강변습지의 토양환경과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9

영문명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wetland Vegetation and the Soil Condition in the Namhan Riverside
발행기관
상지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
저자명
김병우(Byoung-Woo Kim) 김기선(Ki-Seon Kim) 오영주(Young-Ju Oh)
간행물 정보
『환경과학연구』제9권 제1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공학 > 환경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12.0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점동면 일대 남한강변에서 1999년 3월부터 9월까지 강변초지, 습지, 산지에서 자생하는 육상식물 및 수생식물과 군락지의 환경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소내의 토양 pH는 물억새ㆍ선버들 군락지가 6.97이었고, 띠 군락지 7.47, 쇠뜨기ㆍ갈대 군락지 7.39, 갈대 군락지 7.39, 소리쟁이 군락지 7.23, 물억새 군락지 7.05, 갈퀴나물 군락지는 6.83으로 측정되었다. 토양내 수분함량(%)은 물억새ㆍ선버들 군락지 20, 띠 군락지 1, 쇠뜨기ㆍ갈대 군락지 3, 갈대 5, 소리쟁이 55, 물억새 45, 갈퀴나물 55로 측정되었다. 토양내 유기물 함량(%)은 물억새ㆍ선버들 군락지 5.5, 띠 군락지 0.8, 쇠뜨기ㆍ갈대 군락지 0.7, 갈대 군락지 2.2, 소리쟁이 군락지 2. 물억새 군락지 4.9, 갈퀴나물 군락지 0.9로 나타났다. 목본류는 리기다 소나무가 우점종 이었고,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가 많이 나타나고 일본잎갈나무, 은사시나무는 아주 희소하였다. 강변식생은 강천리, 굴암리 강변에 집중적으로 서식하며 마디풀과의 소리쟁이, 여뀌, 고마리, 국화과의 개망초, 가막사리, 쑥, 개사철쑥, 망초, 벼과에 갈대, 물억새, 띠, 쥐꼬리새, 개기장, 물피, 돌피, 바랭이, 강아지풀, 사초과의 큰고랭이, 세모고랭이, 참방동사니, 금방동사니, 석죽과의 쇠별꽃, 삼과의 환삼덩굴, 버드나무과의 선버들, 갯버들, 콩과의 토끼풀, 갈퀴나물 속새과의 쇠뜨기, 갯질경이과의 갯질경이, 바늘꽃과의 달맞이꽃, 수생식물로는 붕어마름과의 붕어마름, 마름과의 마름, 산형과의 미나리, 가래과의 가래, 가는가래, 부들과의 부들, 벼과의 줄, 개구리밥과의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등 18과 39종의 식물들이 군락을 형성하며 서식한다. 비교적 우점종에 속하는 개체군은 초본류에서 여뀌, 억새, 물억새, 갈대, 쇠뜨기, 소리쟁이, 갈퀴나물, 띠, 망초, 개망초, 달맞이꽃, 참새귀리, 개사철쭉, 질경이, 애기똥풀이며 목본류는 리기다소나무, 소나무,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등이 강변 야산지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다. 조사지 전역에 나타난 식물종조성은 총 94과 361종 1아종 64변종 1품종으로 총 427종으로 조사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rom the early in August to the late in October in 1999. Distribution of wetland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on the riverside of Namhan river near Gangcheon-myon and Jumdong-myon in Yeoju-gun. The soil pH of plant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was measured Miscanthus sacchariflorusㆍSalix nipponica, 6.97; Imperata cylindrica, 7.47; Equisetum arvenseㆍPhragmites communis, 7.39; Phragmites communis, 7.39; Rumex crispus, 7.23; Miscanthus sacchariflorous, 7.05; Vicia amoena, 6.83. The soil moisture content(%) of plant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of Miscanthus sacchariflorusㆍSalix nipponica, Imperata cylindrica, Equisetum arvenseㆍPhragmites communis, and Phragmites communis, Rumex crispus, Miscanthus sacchariflorous, Vicia amoena was 20, 1, 3 and 5, 55, 45, 55 respectively.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of plant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of Miscanthus sacchariflorusㆍSalix nipponica, Imperata cylindrica, Equisetum arvenseㆍPhragmites communis, and Phragmites communis, Rumex crispus, Miscanthus sacchariflorus, Vicia amoena was 5.5, 0.8, 0.7 and 2.2, 2, 4.9, 0.9 respectively. Pinus densiflora was dominant among the woody plant in study area, Quercus acutissima, Quercus aliens, Quercus mongolica were abundant and Larix leptolepis, Populus × tomentiglandulosa were rare. Riverside plants were Rumex crispus. Pericaria hydropiper, Persicaria thunbergii in Polygonaceae, Erigeron canadensis, Bidens frondosa, Artemisia princeps, Artemisia apiacea, Erigeron canadensis in Composeati Imperata cylindrica, Phragmites, Muhlenbegia japonica, Panicum bisulcathum, Echinochloa crus-galli Echinochloa saccharijlorus, Digitaria sanguinalis, Setaria sidiriv in Gramineae, Scirpus tabemaemontani, Scirpus triqueter, Cyperus iria, Cyperus microiria in Cyperaceae, Stellaria aquatica in CaryophyIIaceae, Humulus japonicus in Cannabinaceae, Salix gracilistyla, Salix nipponica in Salicaceae, Trifolium repens, Vida amoena in Leguminosae, Equisetum arvense in Equisetaceaa Limonium tetragonum in Plumbaginaceae, Oenothera odorata in Onagraceae. Riverside aguatic plants were Ceratophyllum demersum, Trapa japonica, Pimpinella brachycarpa, Potamogeton distinctus, Potamogeton cristatus, Typha orienta lis, Zizania latiflia, Spirodela polyrhiza, Lema paucicostata. Dominant populations in herbaceous plants were Persicaria hydropiper, Miscanthus sinensis, Miscanthus saccharijlorus, Phragmites communis, Equisetum arvense, Rumex crisp us, vicia amoena, Imperata cylindrica, Erigeron canadensis, Erigeron annuus, Oenothera odorata Bromus japonicus, Artemisia apiacea Plantago asiatica, Chelidonium majus. woody plants on the hillside were Pinus rigida, Pinus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Quercus aliens, Quercus mogolica, Quercus dentata. It was classified that plants in the study area were 94 families, 361 species, 1 subspecies, 64 varieties, 1 form in all.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조사내용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Appendix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우(Byoung-Woo Kim),김기선(Ki-Seon Kim),오영주(Young-Ju Oh). (2003).남한강변습지의 토양환경과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연구, 9 (1), 1-16

MLA

김병우(Byoung-Woo Kim),김기선(Ki-Seon Kim),오영주(Young-Ju Oh). "남한강변습지의 토양환경과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연구, 9.1(2003):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