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가 인식한 교감의 코칭역량과 초등교사의 혁신행동 및 조직신뢰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7

영문명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Vice Principals' Coaching Competency as Perceived by Teachers,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Trust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가향순 김응자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39~16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교감의 코칭역량이 초등교사의 혁신행동 및 조직신뢰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3부의 응답을 SPSS와 AMOS 28.0을 사용한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혁신행동과 교감의 코칭역량 그리고 조직신뢰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특히, 교감의 성장/미래지향성 코칭역량은 초등교사 혁신행동의 수업혁신 아이디어 실행 측면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조직신뢰가 교감의 코칭역량과 초등교사 혁신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감의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초등교사의 혁신행동이 촉진되며, 초등교사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증가하여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즉, 교감의 코칭역량과 초등교사의 조직신뢰가 높을수록 초등교사의 혁신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감의 코칭역량이 초등교사의 조직신뢰와 혁신행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현장에서 교감 코칭역량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초등교사의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coaching competency of vice principal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trust.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s, and a total of 203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28.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teachers' innovation behavior, coaching competency of vice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trust. In particular, the growth/future-oriented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was th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innovation ideas in terms of teacher innovation behavior. Second, organizational trus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innovation behavior, that is, higher coaching competency of principals promotes teacher innovation behavior. There is also a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coaching competency of principals and teachers' organizational trust. This means that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vice principals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teachers'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on behavior.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vice principals' coaching competency in educational settings and suggest the need for practical measures to promote teachers' innovative behavior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eBook 우측윙_트렌드사이언스
  • eBook 우측윙_북드림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