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oul’s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Analysis and Study on Improvement Plans for Seoul’s Single-person Household Policy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정승원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3호, 215~2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한국 사회에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1인 가구의 증가일 것이다. 이에 서울시는 1인 가구 증가 추세에 맞게 1인 가구 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을 2021년부터 도입하여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대한 논의는 아직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였다. 그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담멘토링을 진행하는 실무자 중심으로 전화, 서면 등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분석한 후에 한계점과 개선방안을 다각도로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는 2022년 10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 걸쳐 1인 가구 상담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담당자와의 FGI 인터뷰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대상자는 상담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한 7개의 자치구와 상담멘토링을 운영하지 않은 3개의 자치구를 추가하여 10개의 자치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청년 1인 가구가 가지는 고립감과 소외감이 다룰 수 있는 주거 내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운영도 제안하였다. 1인 가구 주거서비스의 하나인 사회주택을 활용하여 주거공간 내에 정서적 지지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도입될 경우, 사회주택에 형성되어야 할 커뮤니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현재 거주하는 지역, 주거 공간에 대한 친밀도 역시 증가하여 심리적 안정감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서울시 특성에 맞게 실효성 높은 상담 프로그램을 제안에 의미를 가진다.
영문 초록
Perhaps the biggest change that has occurred in Korean society recently is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In line with the trend of increasi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introduced and is carrying out a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for single-person households from 2021.However, the discuss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has not yet been fully conducted. Accordingly, in this study, telephone and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centering on practitioners conducting counseling mentoring, and based on the contents, the program was analyzed and limitations and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from various angl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late October to mid-November 2022 with an FGI interview with a person in charge who runs a single-person household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Ten Metropolitan boroughs were selected by adding 7 administrative officers who operated the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and 3 administrative officers who did not operate counseling mentoring. If a counseling program for emotional support is introduced in a residential space using social housing, one of the housing servi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t is expected that community activities to be formed in social housing can be supported, and at the same time, intimacy with the current area and residential space will increase, leading to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poses a highly effective counseling program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서울시 1인 가구‘상담 멘토링’프로그램 설문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울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 2007년에서 2023년까지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을 적용한 학교 상담 정책의 변동 분석
- 관계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외상 후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단기 마음챙김기반 집단상담이 마음챙김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CK(제3문화 아이들)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국내 학위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아존중감과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과 두려움이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살펴본 다문화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결정요인
- 서울시 청년 1인 가구를 위한‘상담 멘토링’프로그램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카오스, 죽음, 재탄생으로 나타난 모래놀이상담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