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규교사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와의 영향관계 분석
이용수 58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New Teacher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하동엽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31권 제3호, 245~27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신규교사 748명의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직무만족도 그리고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보통 수준이고, 직무환경에 대한 인식도 직업의 안정성을 제외하고 보통 및 보통 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둘째, 신규교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직무환경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석에서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의 인식이 다른 학교급의 신규교사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신규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는 직무 내적 요인과 직무 외적 요인 모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금전적 보상체계 개선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신규교사 참여 여건 마련, 담임 협력제, 역량 함양 및 직무환경 평가 체제 구축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of 748 new teachers,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w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at a normal level, and their perception of the work environment was at a normal and below average level, excluding job stability. Second, in the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in new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work environment, the perception of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new teachers at other school levels. Third, both internal and external job factors were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new teach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financial compensation system and Creating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new teachers, cooperate with homeroom teachers, develop capabilities, and establish a work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권 개념의 형성과 교사-학부모 관계의 변화
- 지방교육자치의 현안 진단과 향후 과제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교직단체 운영 특성 분석
- 윤석열 정부의 10대 교육개혁 정책의 변동 유형과 특성 분석 - 문재인 정부 정책의 단절과 계승의 관점을 중심으로 -
- 언론 기사를 통한 K 지역 직선제 교육감의 역할 정체성 분석
- 초등학교 학생평가 정책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1999년 ~ 2024년을 중심으로
- 정책담화모형(NPF)을 활용한 A지방중소도시 고교평준화 정책 추진 과정 분석
- 신규교사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와의 영향관계 분석
- 주민직선교육감제 도입 이후의 교육청 변화에 대한 교육당사자들의 인식 분석 - 2009년 4월부터 2022년 6월 동안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군집분석을 이용한 농촌 청년 활성화 지역 특성 분석
- 말산업 전문인력 양성기관(고등학교) 교사의 ICT 리터러시와 ICT 활용 수업 의도 관계 분석
- 영성지능이 영역초월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