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 기반한 난독증 하위유형 탐색: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89

영문명
Classification of Dyslexia Subtypes Based o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An Application of Latent Profil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김보배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21권 제1호, 27~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을 기반하여 난독증 하위유형이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류된 하위유형의 강점과 약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징이 읽기성취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1∼3학년의 난독증 아동 206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단어읽기와 관련 있는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음운인식, 자모지식, 명명속도, 음운기억, 문장기억, 수용어휘, 듣기이해)을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였다. 또한 Kruskal-Wallis 검정을 통해 집단 간 읽기성취(단어읽기,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를 비교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네 개의 하위유형이 확인되었으며, 첫 번째 유형은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 전반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전반적인 결함 집단’이었다. 다음으로 자모지식과 명명속도에 상대적 강점을 보이는 ‘처리속도 우세 집단’, 음운기억과 문장기억 능력에서 강점을 보인 ‘작업기억 우세 집단’, 수용어휘와 듣기이해 능력이 높은 ‘수용언어 우세 집단’이 하위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전반적인 결함 집단’은 다른 세 집단에 비해 단어읽기, 읽기유창성에서 낮은 성취를 보였으며, ‘수용언어 우세 집단’은 읽기이해 능력에 강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틀의 제한에서 벗어나 난독증의 하위유형에 대해 실증적이면서도 탐색적인 분류를 시도하였으며,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 기반하여 각 유형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중재에 시사점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lassified Korean dyslexia into subtypes based o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lassified subtypes and reading achievemen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06 children with dyslexia in grades 1-3 of an elementary school.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measured to classify dyslexia into subtypes: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rapid naming, phonological memory, sentence memory, receptive vocabula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Furthermore, the groups were compared in three reading achievement variables: word reading,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four subtypes of dyslexia, including the “overall defect group” with overall difficulty i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processing speed dominant group” showing strength in letter knowledge and rapid naming; “working memory dominant group” showing strength in phonological and sentence memory abilities; and “receptive language dominant group” with receptive vocabula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The comparison of reading achievement between groups revealed that the “overall defect group” was characterized as having lower word reading and reading fluency than the other three groups, whereas the “receptive language dominant group” had strengths in reading comprehension. This is the first study in Korea in which an empirical and exploratory attempt has been made to classify dyslexia into subtypes beyond the limit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Moreover, the study results promoted an understanding of the heterogeneity of dyslexia through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ubtypes based on cognitive processing and language skills and ha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배. (2024).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 기반한 난독증 하위유형 탐색: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1 (1), 27-54

MLA

김보배. "인지처리 및 언어 기술에 기반한 난독증 하위유형 탐색: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장애연구, 21.1(2024): 2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