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 창작활동에 나타난 탈북가정 아동의 미적 경험

이용수 23

영문명
Aesthetic Experience of Children in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on Picturebook Making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김주아 현은자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3호, 23~65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예술교육은 일반 아동뿐만 아니라 취약계층의 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에게도 긍정적인 효 과를 보인다. 따라서 탈북가정 아동에게도 예술교육은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생성을 하는 예술 장르이므로 그림책 창작활 동 역시 예술교육의 일환으로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창작활동에 참여한 탈북가정 아동 6명의 미적 경험 양상을 살펴봤다. 아동의 사례를 통해 공통된 요소를 기반으로 1차 코드 62개를 추출하고, 관련 의미들을 다시 연결하여 2차 코드 18개를 추출했다. 이를 기반으로 7개 의 미적 경험 관련 주제어, 즉‘다양한 구성의 경험과 주체적 태도’,‘감각적 즐거움의 경 험’,‘다양한 통로로서의 표상형식 경험’,‘상상을 통해 안전하게 감정 및 욕구 해소하 기’,‘만족과 고통의 양가적 감정 경험’,‘낯설고 새로운 세계와의 만남’,‘긍정적인 소통 의 경험’을 추출했다. 주제어를 중심으로 살펴본 탈북가정 아동들의 경험은 일반적인 한국 아 동들이 그림책 창작활동에서 경험한 내용과 유사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그림책 창작활 동을 통해 아동이 성장함을 볼 수 있었다. 둘째, 글과 그림, 판형 등의 다양한 표상형식을 지닌 그림책을 만드는 활동은 글과 그림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아동들도 새로운 방식으로 창작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아동에게 여러 경험의 통로가 되고 미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림책 창작활동은 예술교육 면에서 가치 있는 활동이다.

영문 초록

Art education showed several positive effects for children in vulnerable groups, and also helpe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So, I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in many aspects even for children in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Picturebooks are an art genre that creates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text and pictures. Therefore, picturebook making will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children as part of art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aesthetic experiences of six children in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picturebook making class. Through the case study method, the aesthetic experience aspect was analyzed through the cases of six children in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who experienced this activity. First of all, each case was described in an explanatory way. In addition, 62 primary codes were extracted based on common elements through the case of children, and 18 secondary codes were extracted by reconnecting related meanings. Finally, 7 keywords related to aesthetic experience were extracted. It is founded the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were similar to those of general South Korean childre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first, that children can grow through picturebook making. Second, making picture books with various representational forms enables children who are not proficient in writing and picture language to create in a new way. Third, picturebook making is a valuable activity in terms of art education in that it becomes a passage of various experiences for children and allows them to have aesthetic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그림책 창작활동에서 탈북가정 아동의 미적경험 양상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아,현은자. (2023).그림책 창작활동에 나타난 탈북가정 아동의 미적 경험. 문화예술교육연구, 18 (3), 23-65

MLA

김주아,현은자. "그림책 창작활동에 나타난 탈북가정 아동의 미적 경험." 문화예술교육연구, 18.3(2023): 2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