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치료 및 상담이론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 동향
이용수 73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Music Therapy Based o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Theory: Focusing on Domestic Thesis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이보라 김경숙
- 간행물 정보
-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5권 제1호, 101~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치료 및 상담이론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음악치료 연구의 동향을 확인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음악치료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심리치료 및 상담이론 열두가지를 중심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등록된 2000년도 이후의 국내 음악치료 학위논문을 수집하였고, 대상 논문의 제목에 명시된 해당 이론과의 연관성, 국문 초록 및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여 연구 대상을 선정한 뒤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수는 총 49편으로, 이 중 인지행동치료가 22편, 긍정심리학이 17편이며, 다른 열 가지 이론은 소수의 연구가 있거나 발견되지 않아 음악치료 연구에서 선호되는 이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대부분의 연구가 음악치료 전공자들에 의해 이루어졌고, 연구방법은 실험연구가 많았다. 둘째, 연구 대상은 성인이 가장 많았으며 청소년과 아동, 노인, 기타에서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내용에서는 대부분의 음악치료 개입에서 해당 연구의 기반이 된 이론이 명확하게 드러났으며, 연구 주제 역시 이론의 주요 개념이나 선행연구에 포함된 내용을 통해 이론을 기반으로 한 연구와 각 이론과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in music therapy research based on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theor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music therapy research. To this end, 12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theories were collected for domestic music therapy degree thesis after 2000 registered in the RISS. The subject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reviewing the relevance, Korean abstract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ubject pape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studies was 49, of which 22 wer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17 were positive psychology, and 10 other theories confirmed that there were preferred theories in music therapy research as few studies or no studies were found. In addition,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by music therapy majors, and there were many experimental studies as research methods. Second, adults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of the study, and studies were conducted in adolescents, children, the seniors, and others. Third, in the research content, the theory that was the basis of the study was clearly revealed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centered on most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research topic was also abl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based research and each theory.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도전적 행동이 음악치료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심리 정서적 지원이 필요한 초등학생의 긍정/부정 정서, 자아 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음악치료 수퍼바이저들이 지각하는 좋은 수퍼비전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예술통합적 방법(Music, Drawing and Narrative: MDN)을 적용한 지시적 심상음악치료가 중국 유학생의 정서 및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 심리치료 및 상담이론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 동향
- 범불안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정서 지원으로서의 음악심리치료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