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내 인공지능 로봇 사용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인공지능 인식 차이
이용수 115
- 영문명
- Differences in Pre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with AI Robots in day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보육지원학회
- 저자명
- 이보람 김수정
- 간행물 정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19권 제2호, 43~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pre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their distribution by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with AI robots in daycare cente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19 five-year-old children, 52 of whom had experience with AI robots in daycare centers and 67 of whom did not. Children’s perceptions of AI were measured using the Godspeed scale from Bartneck et al.(2009).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inexperienced group, the experienced group reported lower levels of animacy and perceived intelligence of AI robots, indicating higher levels of AI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experienced
group had a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machine recognition’ type than ‘organism recognition’ type,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e with AI robots in daycare centers can improve children’s AI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o further enhance this effec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robots put into classrooms, and to consider various teaching media that reflect children’s preference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 유아의 유능감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효과: 유아의 기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어린이집내 인공지능 로봇 사용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의 인공지능 인식 차이
- 유아보육·교육기관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이 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에 의해 조절된 과학교수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기록작업 모형 개발
- 유아의 자유놀이시간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