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신체활동 경험과 체육교과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54

영문명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나재권 이영석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8권 제4호, 121~1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의 신체활동 경험을 탐색하고 체육인식 및 미래 체육수업 접근방식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론은 해석적 현상학을 사용하여 13명의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현상학적 면담과 개방형 질문지, 이메일 서신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Hycber(1985)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교육대학 입학전 신체활동 경험’, ‘교육대학 체육교과 경험’, ‘체육 인식 및 미래 체육 수업 접근 방식’, ‘미래 체육 수업 실천을위한 노력’으로 주제를 구성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는 부모와 직접 신체활동을 경험하거나 부모의 수단적 지지를 통해 신체활동을 경험함으로써, 신체활동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나 인식을 형성하였다. 학교에서는 긍정적 체육수업과부정적 체육수업을 모두 경험하였는데, 긍정적 체육수업 경험으로는 ‘다양한 종목 경험’, ‘체육환경’, ‘체육교사’가있었고, 부정적인 체육수업 경험은 ‘아나공수업’과 ‘파행적 체육수업’이었다. 긍정적 체육수업 경험은 신체활동 및체육교과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부정적 체육수업을 통해 체육교과는 전문성이 없는 것으로 오해를 하게 됐지만,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체육교과의 전문성에 대해 인식하였고 체육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교수자로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함을 깨닫게 되었다. 미래 체육수업 접근 방식에 대해서는‘재미있는 체육수업’, ‘모두가 참여하는 체육수업’, ‘도전을 주는 체육수업’, ‘체력을 강화하는 체육수업’을 지향하고있었으며 이를 위해 실기기능의 향상과 실기가 부족한 학생에 대한 공감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가지고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and a basic approach to their future PE class. Hermeneutic phenomenology was employed as a research method. Thirteen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phenomenological interviews, open-ended questionnaire, and email, and analyzed by Hycber’s work. Four themes were found: ‘PA experiences before entering college’, ‘Experiences on PE curriculum at college’, ‘Perceptions of PE and their future class as a teacher’, and ‘Change to improve their capability as a PE teacher’. Pre-service teachers have constructed their perspectives on physical activity by parents’ physical activity with them and by parental instrumental support. In school, they experienced PE classes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Positive PE experiences include a varirty of activities, school environment, and PE teachers, which reinforced their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Negative PE experiences including ‘playing without teaching’ and ‘no PE class for studies’ led them to misunderstand that PE is a school subject with no profession. However, they had an opportunity to change such a negative perception of PE by learning PE theories in college of education. They understood that teaching PE classes need a professional knowledge. Four basic approaches to their future PE classes are as follows; ‘PE with fun’, ‘PE with inclusion’, ‘PE with challenge’, and ‘PE for physical fitness’. For those PE classes, they believed that they need to improve their level of sport-performance and to understand those who have a low sport skill capability.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rom those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재권,이영석. (2023).초등 예비교사의 신체활동 경험과 체육교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8 (4), 121-140

MLA

나재권,이영석. "초등 예비교사의 신체활동 경험과 체육교과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8.4(2023): 121-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