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수업에서 교내 또래의 수업태도와 학생 학업성취도 간 관계 분석

이용수 381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Learning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lasses in Response to COVID-19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문희원 정설미 김리나 박수연 정동욱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0권 제8호, 185~21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비대면 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학생들의 부정적 수업태도와 학력 격차 및 저하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또래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과 또래의 수업태도 변화가 학력 격차 및 저하 현상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며, 코로나-19 전후 수업태도의 변화와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코로나-19 이후 교내 또래의 수업태도와 학생 의 수업태도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변화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학생의 성적에 따라 교내 또래의 수업태도 영향력이 차별적인가를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BELS)의 1-6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처치집단과 영향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경향점수 매칭 후 영과잉 순서형 프로빗(Zero-inflated ordered probit)모형과 삼중차분(Difference-in-Difference–in-Differences)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비대면 수업은 학생들의 직접적 수업 방해행위(떠들기, 말과 행동으로 방해하기)와는 유의한 부적 관계가 있으며, 간접적 수업 방해행위(다른 숙제하기)와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또래의 직접적 방해행위는 학생 의 직접적 방해행위(떠들기)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또래의 간접적 방해행위는 학생 의 직접적 방해해위(떠들기)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수업에서 또래의 간접적 수업 방해행위는 학생 의 학업성 취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에서만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디지털 전환 교육에서 수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As online learning expands in response to COVID-19, concerns about students' negative learning attitudes in online classes and educational gaps are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peers on changes in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 online classes and academic achievement, which can be a mechanism that caused educational gaps during COVID-19. First, we empirically examined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attitudes of peers in school and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We also verified whether the influence of learning attitudes of peers in school differs depending on students' achievement levels. For the analysis, we used the first through sixth wave data of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BELS) and exploite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to ensure homogeneity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Afterward, the zero-inflated ordered probit model and the difference-in-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were applied. We found that shifting face-to-face classes to online class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direct disruptive behavior (talking, disrupting with words and actions) a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direct class disruptive behavior (doing other homework). Also, in online classes, peers' direct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s' direct disruptive behavior (making noises), and peers' indirect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s' direct disruptive behavior (making noises). Finally, peers' direct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ut this tendency was evident only in high academic achievers. Based on this, this study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in digital conversion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희원,정설미,김리나,박수연,정동욱. (2022).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수업에서 교내 또래의 수업태도와 학생 학업성취도 간 관계 분석. 교육학연구, 60 (8), 185-217

MLA

문희원,정설미,김리나,박수연,정동욱. "코로나-19 대응 비대면 수업에서 교내 또래의 수업태도와 학생 학업성취도 간 관계 분석." 교육학연구, 60.8(2022): 185-2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