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상담교사 및 특수교사의 특수아상담에 대한 인식 분석

이용수 183

영문명
Analysis of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Counseling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주형진 문지혜 하수경 이임숙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11권 제2호, 213~23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특수아상담에 대한 전문상담교사 및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전문상담교사와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아상담에 대한 정의와 특수아 상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것들을 갖추기 위해 요구되는 것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수학교 또는 비특수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교사 세 명(전문상담교사 2명, 특수교사 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해 특수아상담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위한 면담 질문지를 제작하여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핵심 용어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에 대한 개념과 특수아상담의 상담에 대한 개념을 다르게 받아들이며 언어적 중재를 사용할 수 없는 상담을 ‘특수아상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의 양성과정에서 특수아상담을 수강하거나 특수학교에서 상담 실습을 경험하지 않았다. 특수아상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은 장애에 대한 이해와 실제를 중심으로 하는 연수의 필요성이었다. 셋째, 특수아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의 특수아상담은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에서 특수아의 특성에 초점에 둔 전문화된 상담을 할 수 있는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설과 운영이 필요하고 더불어 특수아상담과 관련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범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etency required for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through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chool counselo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in the educational field. A 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two school counselors,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d worked at a special school or non-special school for more than one year. A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used for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key terms referring to the phenomenological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hool counselors recognized couns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chool counselors recognized counseling that could not use verbal intervention as ‘special child counseling’. Second, In the process of educating counselors, they did not take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or experienced counseling practice at special schools. The competency required for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was suggested as training focusing on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disability. Third, counseling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s almost nonexistent, and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by a school counselor working at a special school is being conducted for students who can communicate verbally. Fi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 specialized curriculum should be opened and operated in counseling for special children in the process of educating schooll counselors, and it was necessary to discuss the scope of duties of counselors with special needs related to counsel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형진,문지혜,하수경,이임숙. (2022).전문상담교사 및 특수교사의 특수아상담에 대한 인식 분석. 복지상담교육연구, 11 (2), 213-233

MLA

주형진,문지혜,하수경,이임숙. "전문상담교사 및 특수교사의 특수아상담에 대한 인식 분석." 복지상담교육연구, 11.2(2022): 213-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