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분석

이용수 118

영문명
Analyses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Social Studies, Practical Arts, and Ethic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저자명
전혜진(Jeon, Hyejin) 강석진(Kang, Sukjin)
간행물 정보
『교과교육학연구』제26권 제1호, 29~4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환경이나 지속가능성이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에 어떻게 도입되는지 분석한다면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환경교육의 역할과 방법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정책과 실천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환경교육 관련 교과라고 할 수 있는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의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환경교육 내용은 텍스트/학생 활동, 중심 주제/소재, 환경 지식/환경 태도·가치/환경 역량/환경 실천과 참여, 지속가능성에 대한생태적/경제적/사회적 관점 등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사회, 도덕 교과서에 제시된 환경교육 내용은 절반 정도가학생 활동 유형이었으나 실과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은 대부분 텍스트 유형이었다. 과학과 사회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은대부분 중심 주제 유형이었으나 실과와 도덕 교과서는 40-60% 정도가 소재 유형이었다. 대부분의 환경교육 내용에서 환경지식 범주와 환경 태도·가치 범주는 적절히 반영되어 있었지만, 환경 역량 범주와 환경 실천과 참여 범주는 거의 반영되지않았다. 대부분의 환경교육 내용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생태적 관점은 어느 정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제적 관점은교과에 따라 편차가 컸고 사회적 관점은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영문 초록

An analysis of how environment and/or sustainability are introduced in the current textbooks allows exploring the role and the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could serve as a basis for formulating new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and analyzed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from elementary school science, social studies, practical arts, and ethic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ere classified as text/students’ activity, main topic/material, knowledge/attitude-value/competence/practice-participation, and ecological/economic/social perspectives represented in the cont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round half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social science, and ethics textbooks were the students’ activity type whereas most of them in practical arts textbooks were the text type. In additio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science and social studies were presented as the main topic type while 40 to 60 percent of them in practical arts and ethics textbooks were presented as the material type. Asp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value were properly introduced i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whereas aspects of competence and practice-participation were rarely covered. Although the ecological perspective was represented, to some degree, in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the presence of economic perspective widely varied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the social perspective was rarely fou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혜진(Jeon, Hyejin),강석진(Kang, Sukjin). (2022).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6 (1), 29-41

MLA

전혜진(Jeon, Hyejin),강석진(Kang, Sukjin).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사회, 실과, 도덕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6.1(2022): 29-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