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문대학 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주요 정량지표 변화분석 연구

이용수 64

영문명
Analysis of the Variations of Junior College Major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Improvements of Evaluation Indicators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강성환(Sung Hwan Kang) 한대희(Dae Hee Han)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4권 제4호, 151~16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전문대학은 학령인구의 감소 등으로 인한 대학구조개혁 평가 그리고 정부의 재정지원사업 평가, 기관평가 인증 등 다양한 평가 환경 속에서 살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대학의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고, 대학의 특성과 장점을 강화하는데 긍정적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가 방법 측면에서 대학의 특성과 지역별 특성을 감안하지 않는 정량적 평가지표에 치중한 획일적인 평가라는 비판도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주요 평가지표에 대해 지역별 수준 차이와 변화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평가지표들의 효과성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전문대학의 주요 평가지표들은 2011년도 여러 지표에서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주로 수도권이 지방권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그러나 2014년도의 경우 일부 지표에서만 차이가 있었으며, 수도권과 지방권간 평가 지표의 수준 차이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량지표 값의 수준이 대부분 지표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정량지표에 치중한 순위평가 보다는 평가방식을 다양화하고, 평가 사업의 특성 및 지역별 그리고 대학의 특성에 따라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oday, junior college is evaluat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restructuring, government-funding projects, evaluation accreditation. These evaluations have positive aspects such as fair competition among colleges, reinforcement of their strong points, and improvement of their weak points. Nevertheless, there are also criticisms that they are conducted uniformly on the basis of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 situations and regional particularities of each college. Thu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junior college evaluation indicator by regions. Moreover, it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level difference. Eventually,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finding the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levels of evaluation indicators in 2011. It was higher in the capital region than in provincial area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s of indicators in 2014 and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the province decreased. Therefore, the college ranking system based on quantitative indicator needs to be diversified. When evaluating the junior colleg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evaluation indicators by their characteristics and purposes, the region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환(Sung Hwan Kang),한대희(Dae Hee Han). (2015).전문대학 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주요 정량지표 변화분석 연구. 직업교육연구, 34 (4), 151-168

MLA

강성환(Sung Hwan Kang),한대희(Dae Hee Han). "전문대학 평가지표 개선을 위한 주요 정량지표 변화분석 연구." 직업교육연구, 34.4(2015): 151-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