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인지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체화이론과 발달적체계접근을 기초로

이용수 60

영문명
How does construct cultuĝnitive structure? - Based on embodiment theory a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신혜은(Hye-Eun Shin)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8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문화와 인지의 오래된 이분법을 넘어, 인간 인지와 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현상 이해를 위한 새로운 틀로서 ‘문화인지’ 개념을 제안함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새로운 융합개념인 ‘문화인지’ 개념을 기존의 인지와 문화의 이분법과 대비시킴으로서 ‘문화인지’ 개념 출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문화인지 개념 출현의 이론적 토대로서 ‘체화이론’ 개념과 ‘발달적 체계접근’을 도입하여 기존의 인지와 문화 각각의 개념으로는 설명되지 않았던 문화인지 현상의 구조와 기능의 독특성에 대해 면밀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또 유기체내에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구조와 기능의 출현을 의미하는 ‘문화인지’ 구조가 어떠한 다양한 조건과 맥락 내에서 형성되고 구조화 되는지를 다양한 예들의 제시를 통해 문화인지 구조 개념의 가설적 타당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상 양식에 따른 다양한 인지와 문화인지의 예를 가설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새로운 구성개념인 문화인지 개념의 출현과 구성이 지니는 다양한 함의를 발달과 교육, 그리고 예술과 치유의 측면에서 조망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concept of cultuĝnition as a new frame to overcome an old dichotomy between gene and environment and to explain various phenomena around human cognition and culture. For this purpose, there were firstly described the need of a new emergent construct cultuĝnition which is not a combination but a consilience. Two theoretical bases which are embodiment theory a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were implemented for constructing the concept of cultuĝnition. The embodiment theory is the fourth generation in cognitive science and profoundly accep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Embodiment paradigm has demonstrated that cognition is grounded in bodily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nd that abstract concepts are tied to the body s sensory and motor systems.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is also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odel to explain emergent new structure and function in human ontogeny as well as phylogeny. Based on this embodiment and 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the process of formation cultuĝnitive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here wer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from developmental, educational, therapeutical aspects with various samples of cultuĝnitive phenomena. This cultuĝnitive account is useful in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accumulating discoveries of cultural variations in human mind and the bod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문화와 인지의 이분법
Ⅱ. 문화인지(Cultuĝnition)와 체화이론(embodiment theory)
Ⅲ. 문화인지(Cultuĝnition)와 발달적 체계접근(Developmental systems approach)
Ⅳ. 나가는 말: 문화인지구조 개념의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은(Hye-Eun Shin). (2013).문화인지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체화이론과 발달적체계접근을 기초로. 문화예술교육연구, 8 (3), 1-19

MLA

신혜은(Hye-Eun Shin). "문화인지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체화이론과 발달적체계접근을 기초로." 문화예술교육연구, 8.3(2013):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