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창판소리 남성성 연구

이용수 83

영문명
A Study on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서유석(Seo You Seok)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53집, 95~12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소리를 잃어버린 판소리 작품에 등장하는 남성 주인공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남성성의 양상과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지고 있다. 남성성이란 개념은 하나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남성들을 하나의 가치 규범 아래 묶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창판소리의 남성 주인공들은 모두 ‘부정적인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이 보여주는 ‘부정적인 형상’은 다양한 남성성들의 분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에,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을 남성성과 연관해서 연구해 볼 수 있는 가치는 충분하다. 실창판소리에서 다양한 남성성이 드러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남성들만이 인식과 시선의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남성들도 시선의 대상이 되고, 객체화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규범화할 수 없는 남성성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표상된다. 남성성은 젠더 관계의 장소이자 남녀 모두의 실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기에 실창판소리 남성 주인공들의 다양한 남성성들과 ‘부정적 형상’은 모두 남성을 객체화하는 시선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기에는 남성성이 분화되고 있는 것을 예리하게 포착하는 여성적 시선의 존재 가능성을 찾아볼 수 있다. 당대 사회의 가부장제를 체현하면서 동시에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동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획득할 수 있는 실창판소리의 주인공은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공모된 남성성’을 획득하여 가부장제의 배당금을 얻어내거나 ‘주변화된 남성성’을 통해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권위를 부여할 뿐이다. ‘공모된 남성성’은 가부장제의 이념에서 탈주하려는 여성적 시선에 의해 드러난다. 가부장제의 배당금을 획득하기 위해 여성에 대한 상대적 존중과 타협을 보여주는 배비장과 무숙이는 자신들을 곤궁에 빠뜨린 애랑과 의양에 의해 구원받는다. 가부장제 이념에서의 탈주라는 여성적 시선이 ‘공모된 남성성’을 오히려 부각시키는 셈이다. 과도한 남성정욕의 화신으로 보이는 변강쇠와, 여성에 대한 직접적인 폭력으로 가부장제 권위 재확립의 최전선에 서 있는 장끼는 자신들의 남성성을 강하게 과시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과도한 남성성 표출’이 다른 계급의 남성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는 없다. 따라서 그들의 남성승은 오히려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권위를 부여하고 주변화된다. 그리고 이들의 ‘주변화된 남성성’은 이들을 ‘괴물’과 같은 존재로 드러내는 남성을 객체로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에 의해 구체화된다. 결국 실창판소리에 드러나는 남성성들은 조선후기에 다양한 갈래로 분화하는 가부장제 이념의 모순에 대응하고 있는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various patterns and meanings of the masculinity of male protagonists in Silchang (Sound-Lost) pansori (a genre of musical storytelling). The male sex cannot be defined as one single concept. This is because all males cannot be categorized into one value norm. All the male protagonists in Silchang pansori have negative images, and these images can be identified through diverse masculine differentiations. The personalities of the protagonists in the work are worth studying in regard to their masculinities. The various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itself are very meaningful. This is because men are not only the subjects of awareness and gaze but also the objects of gaze and can be objectified. Those males who cannot be normalized are represented in social relations. Because masculinity is a place for gender relations and can be achieved by the participation of both men and women, the “excessive masculinities” and the “negative image” of the male characters in Silchang pansori are created by a gaze that objectifies men. Here, there is the existence of the feminine gaze, which can instantly spot masculinities being differentiated. In Silchang pansori, there are no characters that acquire the floating “hegemonic masculinities” that embody the patriarchy of society. Rather, they acquire “hegemonic masculinities” and “complicit masculinities” to obtain patriarchal dividends or authorize “hegemonic masculinities” through “marginalized masculinities.” The “complicit masculinities” are revealed by the feminine gaze’s attempts to escape from the ideology of patriarchy. Baebijang and Musugi, who show a relative amount of respect for and compromising attitude toward women to obtain patriarchal dividends, are saved by Aerang and Uiyang, who had caused them to feel distress. The female gaze, escaping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emphasizes “complicit masculinities.” Byeongangsoe, who appears to be a representation of excessive male lust, and Jangkki, who stands at the forefront of attempts to reestablish patriarchal authority with direct violence against women, show off their masculinities. However, their “excessive masculinity” cannot influence men of other classes; it authorizes “hegemonic masculinities” and becomes marginalized. The “marginalized masculinities” are also embodied by the feminine gaze, which reveals them to have a “monster”-like existence. The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 are deemed to be the outcome of responding to the contradiction of the ideology of patriarchy being differentiated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목차

1. 서론
2. 남성성의 인식과 분화, 그리고 헤게모니적 남성성들
3. 공모된 남성성들
4. 주변화된 남성성들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유석(Seo You Seok). (2019).실창판소리 남성성 연구. 구비문학연구, 53 , 95-128

MLA

서유석(Seo You Seok). "실창판소리 남성성 연구." 구비문학연구, 53.(2019): 95-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