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 지역의 간호사 이미지 조사 연구 -교사, 방송인, 법무 및 행정 공무원 대상으로-
이용수 91
- 영문명
- A Survey on Public Nurses Image at a Local City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 Broadcaster, Legal and Administrative Officers-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저자명
- 강혜영(Hae Young Kang) 김미선(Mi-S eon Kim) 김정효(Jung-Hyo Kim) 김혜숙(Hye-Suk Kim) 박미화(Mi Hwa Park) 박영주(Young-
- 간행물 정보
- 『Nursing & Health Issues』제6권 제1호, 109~12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8.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ublic nurses image from the perspectives of girl ’s high school teacher (n=53), broadcaster (n=50) , legal officer (n=30) and administrative officer (n=27) at G city from June 20th to July 20th, 2001.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the 4-point Likert scale using 30 items about nurses image developed by Jahang (1998) and the scale was divided into four areas: temperament as a nurse (Cronbach’s α=.72), role performance (Cronbach’s α =.55), community participation (Cronbach’s α=.74), interpersonal relationship (Cronbach’s α=40).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t-test and ANOVA using SPSS/WIN program 10.0, and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influencing factor on nurses image building was nurses working in hospital (75.5%). The average score of image was 2.66 out of 4.00 points and temperament as a nurse was 2.80, ’community participation 2.64 and role performance 2.54 points in subcategories.
2. According to the backgrounds of subjects, the scores on nurses’s im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career, teacher 2.78, administrative officer 2.64, broadcaster 2.58 and legal officer 2.57 points (F=5.47, p=.OOl); and to age, in the fifties was 2.84, the forties 2.75, the twenties 2.65 and the thirties 2.56 points in order (F=5.23, p=.002). And the scores on nurses im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recommended as follows:
1. Follow-up study on nurses image from the perspectives of inpatients, out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various hospital settings and clients in other nurse-working fields.
2. Follow-up study on nurses image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working at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and a study to identify age-specific nurses image of the public.
3. To develop strategies for affirmative self image building of nurses as a health professional and for mass media monitoring.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만화를 이용한 AIDS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AIDS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시내 일부 중학생 학부모의 자녀 성교육 요구도 조사
- 일 도시 보건소 등록 정신장애인 실태조사
- 일부 여대생들의 흡연경험과 흡연 지식, 태도,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관계 연구
- 양호교사의 보조업무수행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조사
- 신생아중환아실에 입원한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의 가족지지와 불안의 관계
- 에어로빅 댄스가 유방절제술을 받은 여성들의 신체 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예비조사
- 발성을 이용한 심호흡 훈련이 기흉 환자의 폐 환기능, 호흡곤란 및 흉관삽입 보유기간에 미치는 영향
-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 일 지역의 간호사 이미지 조사 연구 -교사, 방송인, 법무 및 행정 공무원 대상으로-
- 입원환자의 비위관 영양에 관한 조사 - 광주 • 전남지역 병원중심으로 -
-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태도와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