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히테와 셸링의 국가론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6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Fichte’s and Schelling’s Theory of State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저자명
권기환(Kwon Ki-Whan)
간행물 정보
『철학논집』제56호, 113~14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피히테와 셸링에 있어 국가론에 관한 서로의 관점상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피히테의 국가론이 상호인격성에 근거한 법적 관계에서 성립한다면, 셸링의 국가론은 국가의 기능에서 성립한다. 셸링도 피히테와 마찬가지로 개인과 타인들의 관계에서 생기는 비대칭성을 인정한다. 그리고 그와 같은 비대칭성으로 인해 국가의 필요성에는 의견이 서로 일치한다. 그러나 문제는 법에서 도덕으로 이행을 통해 마치 국가사회주의처럼 국가를 정당화하는 피히테와 이와 반대로 도덕에서 법으로 이행을 통해 국가의 필연성을 제시하는 셸링은 서로 구별된다. 셸링이 피히테적인 관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것은 독재로 회귀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셸링이 국가의 기능을 진술한 것이 오히려 왕정복고를 옹호한 것처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두 철학자의 국가론은 전제 군주제를 반대했지만 그 이후에 국가정체에 있어서 독일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왜곡된 결과를 초래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와 같은 평가는 역사적-정치적 관점에 근거하는 것일 뿐 철학적 관점에 근거한 것은 아닐 것이다.

영문 초록

Dieser Aufsatz beschäft sich mit der Vergleichung in Ansehung der Differenz der Staatslehre bei Fichte und Schelling. Wenn Fichtes Staatslehre in einem Rechtsver hältnis, das auf Interpersonalität beruht, besteht, so ist Schellings Staatslehre in der Funktion des Staats. Ebenso Schelling wie Fichte kennt die Ungleichmäßigkeit an, aus der eine Person in der Bezug auf die anderen entspringt. Und solcher Un gleichmäßigkeit wegen es in Einklang steht mit der Unerlässigkeit des Staats. Aber das Problem, dass Fichte einen Staat wie Staatssozialismus rechtfertigt, durch ein en Übergang vom Recht zu der Moral, ist vom Problem, dass chelling dagegen eine Notwendigkeit des Staats zeigt, durch den Übergang von der Moral zum Recht unterschieden. Was Schelling sich einen kritische Ausgangspunkt über Fichtes Aus gangspunkt verhält, behaltet im Kopf die Möglichkeit, die auf die Despotie zurück zuführen ist. Im Ggenteil zu Schelling, es erscheint zu schützen die Restauration, dass Schelling die Funktion des Staats ausgesagt hat. Schließlich haben zwei Philophen sich dem Mornachismus entgegensetzt, aber späterhin hat das verdrehte Resultat der Staatsform, in der deutschen besonderen Situation herbeigeführt. Doch könnte solche Einschätzung nicht auf den geschichtlich-politischen Ausgangspunkt begründet sein, sondern auf philosophischen Ausganspunkt beruhen.

목차

I. 들어가기
Ⅱ. 피히테와 셸링에 있어 자유와 법의 관계
Ⅲ. 피히테와 셸링의 국가론에 대한 비교
Ⅳ. 피히테와 셸링의 국가론에서 관점의 차이
Ⅴ.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기환(Kwon Ki-Whan). (2019).피히테와 셸링의 국가론에 관한 비교연구. 철학논집, (56), 113-140

MLA

권기환(Kwon Ki-Whan). "피히테와 셸링의 국가론에 관한 비교연구." 철학논집, .56(2019): 113-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